학술논문
콘택트렌즈 관리의 순응도에 인쇄된 안내문이 미치는 효과 분석
이용수 86
- 영문명
- The Impact of Written Information on the Compliance with Contact Lens Car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희원(Hee Weon Kim) 이상윤(Sang Yoon Lee) 이상목(Sang Mok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2, 1848~185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올바른 콘택트렌즈의 관리를 위해서 인쇄된 안내문을 이용한 의사의 설명이 환자의 콘택트렌즈 관리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콘택트렌즈 관리의 세부 항목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불편감과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일 병원에서 단일 안과의사에게 2008년 1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콘택트렌즈를 처방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기간 중 콘택트렌즈 처방을 받는 환자를 무작위로 안내문군 또는 구두설명군에 배정하였다. 안내문군은 콘택트렌즈 처방 시 콘택트렌즈 관리에 대한 안내문을 제공한 후 처방한 안과의사가 관리 방법을 설명하였고, 구두설명군은 동일한 내용을 안내문 없이 구두로만 설명하였다. 렌즈 처방 후 2주 이상 경과관찰이 되었던 23명의 환자들을 상대로 본인의 콘택트렌즈 관리와 관련된 10문항의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각 항목별 결과를 종합 ․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1.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으며 두 군 간의 결과 비교에는 Mann Whitney U 검정을, 상관관계 분석에는 Pearson’s correlation test를 활용하였다.
결과: 총 23명 환자의 설문조사 결과가 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10명은 안내문군, 13명은 구두설명군이었다. 가장 바람직한 콘택트렌즈의 관리 총점을 100점으로 하였을 때, 안내문군은 85.2 ± 13.4점, 구두설명군은 71.5 ± 10.1점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0, Mann-Whitney U-test). 렌즈관리 항목 중 렌즈 보관 시 렌즈관리용액의 매일 교체, 수돗물의 이용이 콘택트렌즈 불편감과, 렌즈 착용 전 헹굼 과정이 콘택트렌즈 부적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각각 p=0.008, p=0.004, p=0.015, Pearson’s correlation test).
결론: 콘택트렌즈를 처방 받은 환자들에게 렌즈 관리에 대하여 단순히 구두로 설명하는 것보다 안내문 등의 보조자료를 같이 이용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환자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렌즈 관리의 순응도 개선을 통하여 렌즈의 부작용을 줄이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impact of written information on the compliance with proper contact lens (CL) care.
Methods: The patients prescribed CLs by a single ophthalmologist in a clinic from January 2008 to August 2009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Th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2 groups, the verbal and written information (VWI) group and verbal information (VI) group. The patients in the VWI group received verbal and written information on proper CL care and the VI group received the same information only verbally. Patients who were followed-up more than 2 weeks after CL wear were asked 10 questions regarding CL care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question on CL care. The Mann Whitney U-test was us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2 groups and Pearson’s test was used for the correlation analyses.
Results: A total of 2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en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VWI group, and 13 patients to the VI group. The most desirable score for the CL care was 100 points. The VWI group showed 85.2 ± 13.4 points and the VI group showed 71.5 ± 10.1 points (p = 0.030, Mann-Whitney U-test). Of the 10 questions, daily replacement of the lens care solution and the use of tap wate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iscomfort induced by the CL and rinsing process before CL inser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L intolerance (p = 0.008, p = 0.004 and p = 0.015, respectively, Pearson’s correlation test).
Conclusions: The patients in the written information group showed better compliance for overall CL care. Adding the written information to the verbal explanation can enhance the patient’s compliance with the proper CL care. Enhancing the compliance of CL care with written information can be expected to decrease the complications and improve the comfort of wearing C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다래끼로 오인된 눈꺼풀의 파라핀종
- 한국인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안구반응분석기를 이용한 안압의 일중 변동
-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공통눈물소관 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 무보존제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이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노안교정을 위한 각막삽입형 인레이의 6개월 동안의 임상결과 비교
- 선천눈떨림에서 시행한 안구추적장치를 이용한 레이저 각막굴절교정수술
- 제한성 갑상선 안병증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와 골드만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비교
- 비외상성 비당뇨병성 유리체 출혈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을 통한 원인 질환 분석
- 환자별 계획된 아래눈꺼풀성형술 후 아래눈꺼풀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에서 외사시로 변화된 환자들에 대한 임상양상 고찰
- 중심망막동맥 폐쇄로 인한 갑작스런 시력저하가 첫 증상으로 나타난 결절다발동맥염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진단한 급성 양안성 일광망막병증
- 배양된 사람 코점막 섬유아세포에 대한 양막추출물의 효과
- 프레넬 간츠펠드 자극기의 임상적 유용성
-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백내장 수술안의 시각 및 광학 결과 비교
- 거대열공 망막박리에서 과불화탄소액을 사용한 유리체절제술 단독수술과 공막두르기 병합수술 비교
- 우세안과 시자극 주변 맥락이 양안 경합에 미치는 효과
- 콘택트렌즈 관리의 순응도에 인쇄된 안내문이 미치는 효과 분석
- 제1형(Type I)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와 관련된 양안 당뇨유두병증
- 초음파유화술의 높고 낮은 유체 역동학 지표들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 양안 백내장 동시수술에 대한 효용성과 안전성
- 시각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분석
- 안구위축환자에서 히알루론산 필러 구후 주입 후 발생한 하안검 부종의 치료
- 안통과 충혈을 주소로 내원한 라디우스-마메니 증후군 환자 증례
- 큰 황반원공에서 시행한 내경계막 자가이식술
- 양이측반맹을 보인 에탐부톨 시신경병증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주변부 맥락막두께 측정
- Dynamic Contour Tonometry와 안혈류분석계의 안구 박동 크기 비교
- 속발외사시의 수술 결과 및 예후인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