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ynamic Contour Tonometry와 안혈류분석계의 안구 박동 크기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Ocular Pulse Amplitude Measured Using Dynamic Contour Tonometry and Ocular Blood Flow Analyzer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용현(Yong Hyun Kim) 이마빈(Mar Vin Lee) 안재홍(Jae Hong Ah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2, 1906~1912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Dynamic contour tonometry (DCT)와 안구 혈류 분석계(blood flow analyser, BFA)를 이용해 측정한 안구 박동 크기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단면 연구로 정상안 35명 35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안구 박동 크기(ocular pulse amplitude, OPA)는 DC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박동 크기(pulse amplitude, PA) 및 박동 안구 혈류(pulsatile ocular blood flow, POBF)는 BFA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DCT를 이용해 측정한 OPA (2.79 0.89 mmHg)는 BFA를 이용해 측정한 PA (3.02 0.90 mmHg)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p=0.082) 두 측정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663, p<0.001). OPA와 PA 사이의 Mean difference limit of agreement는 -0.22 1.44 mmHg였다. OPA는 골드만 안압계로 측정된 안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330, p=0.047) PA는 그렇지 않았다(r=0.057, p=0.745). PA와 OPA는 모두 굴절이상의 구면렌즈 대응치와 중심각막두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않았다.
결론: OPA와 PA는 모두 안압 측정 시 안압의 변동폭을 나타내는 값이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각각의 값과 안압과의 상관관계는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ocular pulse amplitude (OPA) measured using dynamic contour tonometry (DCT) and ocular blood flow analyzer (BFA).
Methods: Thirty-five eyes of 35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cross-sectional and retrospective study. OPA was measured using DCT. Pulse amplitude (PA) and pulsatile ocular blood flow were measured using BFA.
Results: OPA measured using DCT (2.79 ± 0.89 mm H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A measured with BFA (3.02 ± 0.90 mm Hg; p = 0.082) and both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 = 0.663, p < 0.001). Mean difference ± limit of agreement was-0.22 ± 1.44 mm Hg between OPA and PA. OPA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d using Goldmann applanation tonometry (r = 0.330, p = 0.047) but not PA (r = 0.057, p = 0.745). Both PA and OPA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Conclusions: Although both OPA and PA measure IOP fluctua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y showed different relationships with IOP.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다래끼로 오인된 눈꺼풀의 파라핀종
- 한국인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안구반응분석기를 이용한 안압의 일중 변동
-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공통눈물소관 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 무보존제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이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노안교정을 위한 각막삽입형 인레이의 6개월 동안의 임상결과 비교
- 선천눈떨림에서 시행한 안구추적장치를 이용한 레이저 각막굴절교정수술
- 제한성 갑상선 안병증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와 골드만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비교
- 비외상성 비당뇨병성 유리체 출혈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을 통한 원인 질환 분석
- 환자별 계획된 아래눈꺼풀성형술 후 아래눈꺼풀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에서 외사시로 변화된 환자들에 대한 임상양상 고찰
- 중심망막동맥 폐쇄로 인한 갑작스런 시력저하가 첫 증상으로 나타난 결절다발동맥염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진단한 급성 양안성 일광망막병증
- 배양된 사람 코점막 섬유아세포에 대한 양막추출물의 효과
- 프레넬 간츠펠드 자극기의 임상적 유용성
-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백내장 수술안의 시각 및 광학 결과 비교
- 거대열공 망막박리에서 과불화탄소액을 사용한 유리체절제술 단독수술과 공막두르기 병합수술 비교
- 우세안과 시자극 주변 맥락이 양안 경합에 미치는 효과
- 콘택트렌즈 관리의 순응도에 인쇄된 안내문이 미치는 효과 분석
- 제1형(Type I)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와 관련된 양안 당뇨유두병증
- 초음파유화술의 높고 낮은 유체 역동학 지표들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 양안 백내장 동시수술에 대한 효용성과 안전성
- 시각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분석
- 안구위축환자에서 히알루론산 필러 구후 주입 후 발생한 하안검 부종의 치료
- 안통과 충혈을 주소로 내원한 라디우스-마메니 증후군 환자 증례
- 큰 황반원공에서 시행한 내경계막 자가이식술
- 양이측반맹을 보인 에탐부톨 시신경병증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주변부 맥락막두께 측정
- Dynamic Contour Tonometry와 안혈류분석계의 안구 박동 크기 비교
- 속발외사시의 수술 결과 및 예후인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