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예활동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3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현주 이숙 황경옥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3호, 215~2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뇌졸중 편마비 환자가 원예활동을 하는 동안 요구되는 신체기능을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작업의 강도를 평가하여, 원예활동이 편마비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C시의 재활병원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주 2회, 회기 당 30분씩 4주 동안 원예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작업분석과 관절가동범위 분석은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와 다트피쉬(Dartfish)를 이용하였고, 상지 기능평가는 상지기능평가(Manual function test, MFT), 집기
(Pinch)와 쥐기(Grasp)의 중재 전ㆍ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원예활동의 작업강도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수행 시 근육뼈대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추적관찰이 필요하였으며, 관절가동범위는 각각의 원예활동에 요구되는 최소값과 최대값을 확인하였다. 실험군의 상지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기능의 증진이 나타났고, 집기 기능의 점수는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보였다(p<.05). 쥐기의 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실험군에서 향상되었고,대조군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적 능력에 맞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원예활동을 적용한다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상지 관절 가동범위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o se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stroke patients’ upper arm function improvement. Methods : Twenty-two patients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control group or an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al activity twice a week for 4 weeks. To assess their upper arm function, MFT(Manual Function Test), Pinch,and Grasp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y. Results:
In terms of MFT,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but showed a tendency of improvement, while the controls showed no difference. In terms of levels of pinch,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p<.05), while the controls showed no difference. In terms of levels of grasp,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while the controls showed no difference.
Conclusion :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orticultural activity can improve stroke patients’ upper arm function on the unaffected side. These findings might help improve stroke patients’ upper arm functional rehabilitation if combined with the existing physical therapy and operational therap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및 삼킴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의 상관성
-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옹호 및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 중장년 장애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따른 유병특성과 영향요인
-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베이비부머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휠체어 사용 지체장애인의 체지방량, 신체활동량,일상생활 수행능력(ADL)간의 관계
- 국내 뇌성마비 및 지적장애 아동의 재활승마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 취업 장애인의 실업 영향요인 연구
- 회상과제를 통한 청년과 노인의 질문 유형별 이야기 이해 특성
- 양측 인공와우이식이 청각장애 아동의 말지각에 미치는 영향
- 원예활동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