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측 인공와우이식이 청각장애 아동의 말지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2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영미 심현섭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3호, 175~1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조용한 조건과 소음 조건에서의 일측 인공와우 아동, 양측 인공와우 아동, 정상청력 아동 간의 말지각 차이를 살펴보고, 소음 조건에서의 양측 인공와우 아동의 말지각 점수와관련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생활연령이 7~13세인 일측 인공와우 아동(n=15),양측 인공와우 아동(n=15), 정상청력 아동(n=15)에게 조용한 조건과 소음 조건에서 단음절단어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집단에서 조용한 조건에서의 음소점수가 소음 조건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음 조건에서의 음소점수는 정상청력 아동, 양측 인공와우 아동, 일측 인공와우아동 순서로 유의하게 높았다. 소음 조건에서의 양측 인공와우 아동의 말지각 점수, 첫 번째와두 번째 인공와우이식 연령, 양측 인공와우이식 간격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양측 인공와우이식은 조용한 조건과 소음 조건에서 청각장애 아동의 말지각 향상에 도움을 주며, 양측 인공와우이식 연령이 낮고 양측 인공와우이식 간격이 짧을수록 소음 조건에서 양측 인공와우 아동의 말지각이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고도 이상의 청각장애 아동에게는 조기에 양측 인공와우이식을 권유하여 더 나은 청각적 수행력을 지닐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peech perception in quiet and noise condition for children with bilateral cochlear implants (BiCIs) in comparison with children with unilateral cochlear implants (UniCIs) an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NH),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perception scores in noise and related factors for children with BiCIs. Fifteen children with BiCIs, 15 children with UniCIs, and 15 children with N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their ages ranged from 7 to 13 years. Monosyllabic word tests were used to examine their speech perception with and without noise. Children with BiCI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children with UniCIs on monosyllabic word tests with and without noise, although children with BiCIs scored lower than children with NH on the tests.
Speech perception scores in noise were significant correlated negatively with age at the first CI, age at the second CI and inter-implant interval in children with BiCIs. Children with BiCIs obtained better speech perception in quiet and noise condition than children with UniCIs. An age at the first CI, age at the second CI and inter-implant interval should be considered for counseling children with CIs and their paren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econd CI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및 삼킴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의 상관성
-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옹호 및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 중장년 장애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따른 유병특성과 영향요인
-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피해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베이비부머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휠체어 사용 지체장애인의 체지방량, 신체활동량,일상생활 수행능력(ADL)간의 관계
- 국내 뇌성마비 및 지적장애 아동의 재활승마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 취업 장애인의 실업 영향요인 연구
- 회상과제를 통한 청년과 노인의 질문 유형별 이야기 이해 특성
- 양측 인공와우이식이 청각장애 아동의 말지각에 미치는 영향
- 원예활동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출생 미신고 아동 사태가 보호출산제 시행에 미친 영향과 베이비박스의 역할 분석
- 직장복귀계획서 제출제도가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에 미친 효과분석
- 사회복지종사자의 우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