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혼가정 아동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해결중심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Study of the Solution-Focused Sandplay Therapy for Post-traumatic Growth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 발행기관
- 해결중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정심 김희정
- 간행물 정보
- 『해결중심치료학회지』제8권 제1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아동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해결중심 모래놀이 치료에서 치료의 과정은 어떠한지, 성장 영역과 성장 요인은 무엇인지를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지방 중⋅소도시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의 이혼가정 아동 3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였다. 참여자 선정 기준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 상당한 어려움, 즉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아동으로, 해결중심 모래놀이 치료가 심리적 외상 치유에 유익할 것으로 기대되는 아동이다. 참여자에게는 각 12~20회기의 해결중심 모래놀이치료가 제공되었다. 연구자는 자료 수집을 위하여 회기별 모래놀이를 사진으로 기록하였고, 상담 내용을 축어록으로 전사하였으며, 자료는 참여자의 외상 후 성장 과정, 성장 영역, 성장 요인 영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혼가정 아동의 외상 후 성장 과정은 ‘상담목표 설정하기, 모래놀이로 감정 해소 및 외상을 재구조화하기, 강점 및 자원 탐색으로 해결로 유도하기, 해결 중심적 개입 확대 및 변화 유지하기, 외상 후 성장으로 나아가기’의 5단계로 나타났으며, 외상 후 성장 영역은 ‘가족, 친구와 새로운 관계 구축, 자기 이해, 자기를 돌보는 힘 상승, 몰입 대상의 변화로 인한 즐거움, 새로운 대처 방법으로 문제해결 시도’의 4영역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또한, 성장 요인은 ‘라포형성 및 안정감 제공하기, 알지 못함의 자세로 내담자 따라가기, 해결중심적 개입으로 관점의 변화 돕기, 부모, 친구, 자원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 하기’의 4요인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결중심 모래놀이치료가 어떻게 이혼가정 아동의 외상 후 성장에 효과적인지 논의하고,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children from parental divorce, and the areas and factors of growth of them in Solution-focused Sandplay Therapy.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ree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Solution-focused Sandplay Therap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2 or 20 therapy sessions conducted based on Solution-focused Sandplay treatment plan.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5 stages of post-traumatic growth: Setting the goals of counseling, Relieving emotions through sandplay and restructuring trauma, Building solutions through strengths and resources, Amplifying solution-focused interventions and maintaining changes, and Moving toward post-traumatic growth. The areas of post-traumatic growth included 4 categories: Builing a new relations with family and friends, Increasing the power of self-understanding and -care, Pleasure from changing the objects to immerse, and Trying to solve problems with new coping skills. Finally, the fa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were summarized with 4 categories: Providing rapport and sense of security, Following the client with not-knowing posture, Helping client changes with solution-focused intervention, and Taking the role to bridge parents, friends, and resources. We discussed how Solution-focused Sandplay Therapy was effective for the post-traumatic growth of children from divorced families, and suggeste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deas for futur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요약과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이혼가정 아동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해결중심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 교육현장의 아동학대 예방 및 대처 내실화를 위한 해결중심상담 적용 방안의 탐색적 연구
- 초보 해결중심상담자를 위한 슈퍼비전 실천 사례연구: “유능한 해결중심상담자가 되고 싶어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