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이름대기를 통한 정상 노인의 단어 찾기 책략 특성
이용수 1,020
- 영문명
- Word-Finding Strategies on Generative Naming in Normal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박제준(Park Je Jun) 윤지혜(Yoon Ji Hye)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2호, 339~3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생성이름대기 검사는 제한된 시간 내에 주어진 범주에 해당하는 단어를 산출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대상자가 과제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범주에 속하는 어휘를 보유해야 함과 동시에 단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책략인 전환과 군집화를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65~85세 노년층 42명과 18~21세 청년층 42명을 대상으로 생성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여 수행력(정반응과 오반응 수, 반응 시간, 유창한 단어 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단어 산출 책략인 전환과 군집화의 사용 여부 및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책략과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호잇기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정반응 수와 유창하게 말한 단어의 수가 적었고 반응 시간이 길었다. 책략 측면에서는 전환의 수가 적고,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었다. 마지막으로, 전환의 수는 기호잇기검사의 수행시간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로 인한 전두엽 기능 감퇴가 단어 산출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기존의 가설을 지지함과 동시에 생성이름대기 수행 시 청년층과는 다른 책략을 사용하며, 전략적인 단어 찾기 책략인 전환 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의 감퇴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Generative naming is regarded as a test to assess one's abilities to work on efficient strategies and to extract words from one's mental lexicon, which would fit given categories, within a limited time. Switching and clustering are referred to as strategies to help one find a word both rapidly and efficientl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2 normal adults at the age of 65 to 85 and 42 younger individuals at the age of 18 to 21. All participants carried out generative naming test which was followed by Korean-Trail Making Test-Elderly's version. For data analysis, we measured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incorrect response, reaction time, the number of fluent word, clustering size, number of switching, switching time, and performance time on Trail Making Test.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younger group, the older group showed the small numbers of correct responses and fluent words with delayed reaction time. Second, the older group showed the small numbers of switching and they needed more time to switch. Third, the number of switch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formance time on Trail Making Test. Our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the functional decline of the frontal lobe caused by normal aging could deteriorate abilities on word retrieval. Furthermore, strategies of switching might be related to the functional decrease of the cognitive flexibility.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 및 이름대기 과제 유형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행 프로파일
-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브랜드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에 관한 연구
- 국민기초생활수급여부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건강검진사업의 장애영향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 상지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의 터치 키 설계
-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의 효과와 지원방안
- 시ㆍ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 연구
- 한국형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손상환자의 균형능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우반구 뇌손상 환자 발화의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여가참여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 생성이름대기를 통한 정상 노인의 단어 찾기 책략 특성
-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국내 장애인활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컴퓨터 기반 한국형 디자인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