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반구 뇌손상 환자 발화의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
이용수 586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Informativeness, Efficiency and Use of Conjunction Markers in Spontaneous Utterances of the Right Hemisphere Damaged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성시연(Seong Si Yeon) 김영태(Kim Young Tae)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2호, 315~33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병 후 14일 이내의 급성기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발화에 나타난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 12명(남자 6명, 여자 6명)과 연령, 학력, 성비를 일치시킨 일반 성인 12명이었다. 그림 설명과 절차 설명하기 과제로 발화를 수집하여 주제와 과제에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낱말인 CIU(correct information unit) 비율로 정보전달량을, CIU 중 중복되지 않은 낱말인 DCIU(different correct information unit)비율로 정보전달의 효율성을 살펴보았다. 문장 간 결속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접속표지의 총 사용률, 접속표지 유형에 따른 사용률, 접속표지의 총 오류율, 접속표지 유형에 따른 오류율, 접속표지 오류 유형에 따른 오류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은 일반 성인 집단보다 CIU 비율, DCIU 비율 모두 유의하게 낮았고 집단 간 접속표지의 총 사용률, 유형별 사용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우반구 뇌손상 환자 집단의 접속표지 총 오류율이 더 많았고 접속어미와 의미/통사적 오류가 유의하게 많았다. 본 연구 결과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언어장애 진단과 적절한 중재 목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in the description tasks of the acute stage right hemisphere damaged(RHD) patients. Spontaneou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2 non-brain damaged(NBD) adults and 12 RHD patients. Subjects' speech samples were elicited from a single picture description task and a procedural description task. These samples were analyzed with a method which allowed examining within-and between-sentence levels.
Results indicated the informativeness and the efficiency of the RH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BD group. The total error rate of conjunction markers of the RH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BD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conjunction markers type of "conjunctive endings" between groups. In analyzing error types, the RH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semantic/syntactic errors than the NBD group. In conclusion, the RHD group produced less relevant and informative content than the NBD group. And the RHD group produced more errors in conjunction markers between sent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with useful information to assess and intervene of RHD patient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 및 이름대기 과제 유형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행 프로파일
-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브랜드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에 관한 연구
- 국민기초생활수급여부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건강검진사업의 장애영향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 상지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의 터치 키 설계
-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의 효과와 지원방안
- 시ㆍ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 연구
- 한국형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손상환자의 균형능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우반구 뇌손상 환자 발화의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여가참여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 생성이름대기를 통한 정상 노인의 단어 찾기 책략 특성
-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국내 장애인활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컴퓨터 기반 한국형 디자인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