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여가참여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이용수 592
- 영문명
- Correlation Between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Self-Efficacy with Chronic Stroke Patient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홍소영(Hong So Young) 김경미(Kim Kyeong Mi)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2호, 277~2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여가활동 참여도를 조사하고,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2013년 4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는 개인적인 특성에 관한 것 9문항, 여가질문지 30문항, 자기효능감 8문항으로 총 47문항이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71명을 대상으로 만성 뇌졸중환자의 여가활동 참여와 자기효능감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전체 여가활동 참여도는 15.42±7.085이었고, 그 중에서 높은 참여도를 보인 여가활동은 텔레비전보기, 걷기, 운동하기였고, 수공예, 자원봉사, 가구나 소품 만들기에는 낮은 참여도를 나타냈다. 자기효능감은 22.99±7.65로 조사되었고, 여가활동 참여도와 자기효능감 간에 상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0.271, p <0.05). 특정한 여가활동으로는 텔레비전 보기(r=-0.236), 책읽기(r=0.307), 수집하기(r=0.332), 외식하기(r=0.236), 파티에 참석하기(r=0.306)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재가 만성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여가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April 2013 to December 2014 using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47 items(personal character 9 items, leisure Questionnaire 30 items, self-efficacy 8 it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1 chronic stroke patients. The average of the degree for participation on leisur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was 15.42±7.085. The highest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watching TV, Walking and Exercise. The lowest participation activities were volunteer work, craft and D.I.Y. Also Self-efficacy for stroke patients were low(22.99±7.65). The correlation among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nd the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r=0.271, p<0.05). In subcategories the relations were shown as follows; watching TV(r=-0.236), reading(r=0.307), collecting(r=0.332), eat out(r=0.236) and attendance party(r= 0.306). Thus, Leisure activity program is considered to improve self-efficacy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guidance to develop the leisure activity program for chronic stroke patients at hom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및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 및 이름대기 과제 유형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행 프로파일
-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브랜드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에 관한 연구
- 국민기초생활수급여부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건강검진사업의 장애영향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 상지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의 터치 키 설계
-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의 효과와 지원방안
- 시ㆍ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 연구
- 한국형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손상환자의 균형능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우반구 뇌손상 환자 발화의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여가참여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 생성이름대기를 통한 정상 노인의 단어 찾기 책략 특성
-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국내 장애인활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컴퓨터 기반 한국형 디자인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