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이용수 366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Job Fit and Burnout Perceived by PAS Coordinator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손인봉(Son In Bong) 김동기(Kim Dong Ki) 김승태(Kim Seung Tae) 조은아(Cho Eun A)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2호, 27~5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활동지원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양자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코디네이터의 소진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ㆍ실천적 함의를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1년 3월 2일부터 3월 25일까지 약 3주에 걸쳐, 전국의 장애인 활동지원 코디네이터 240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코디네이터의 직무적합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코디네이터의 직무적합성이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시에 직무적합성이 소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결국 직무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코디네이터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ㆍ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minishing burnout of PAS(Personal Assistance Service) coordinators by examining the effect of job fit on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job fit and burnout. The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ed: First, Does Job Fit of PAS coordina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Perceived ?, Second, Does Job Stress of PAS coordinators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between Job Fit and Burnout Perceived? To collect study data, a mail survey was conducted upon 240 PAS coordinators in Korea.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for mediating effects analysis using SPSS 19.0.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job f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job stress. In other words, job fit of PAS coordinators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burnout. These results imply that job fit and job stress need to be emphasized as a strategy to alleviate burnout of PAS coordinators. Through these results,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s are suggested to diminish burnout of PAS coordinator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 및 이름대기 과제 유형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행 프로파일
-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브랜드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에 관한 연구
- 국민기초생활수급여부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건강검진사업의 장애영향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 상지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의 터치 키 설계
-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의 효과와 지원방안
- 시ㆍ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 연구
- 한국형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손상환자의 균형능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우반구 뇌손상 환자 발화의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여가참여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 생성이름대기를 통한 정상 노인의 단어 찾기 책략 특성
-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국내 장애인활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컴퓨터 기반 한국형 디자인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