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브랜드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1
- 영문명
- A Study on Barrier Free Level of Domestic Apartments Unit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주형(Lee Joo Hyung) 김준연(Kim Jun Yeon) 강병근(Kang Byoung Keu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2호, 229~25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주거공간에서의 무장애와 정주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기준의 비교분석과 현재 공급되고 있는 공동주택의 무장애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독일, 영국, 미국, 일본, 한국의 무장애 주택관련 기준을 분석하여 무장애 수준(BF)과 휠체어 이용가능 수준(BF-W)으로 구분된 무장애 주택 기준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도급순위 상위 5개 건설사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을 살펴보았고, 도출된 기준대비 국내 아파트의 BF수준은 50%내외, BF-W수준은 30%내외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내 작동설비, 위생설비, 벽체의 구조적 성능 등을 개선 한다면, 더 높은 적합률을 보일 것으로 보여, 도출된 BF수준의 기준은 일반 주택에도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간규모 확대가 필요한 BF-W수준의 기준은 일정 비율의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주택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주거 유형의 수준도 함께 검토하여 보편적으로 적용 가능한 기준 개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ecent research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barrier free and aging in the place in the housing space. Thus, the present study looked at alternative ways to improve the planning criteria and the relevant system. To do this, the comparative analysis is conducted, by comparing criteria used in domestic as well as foreign areas and by analyzing the circumstance of barrier free in apartments given. The present study established the criteria which distinguish the levels of the barrier free and the accessibility of wheelchairs, through the analysis of barrier free housing criteria used in Germany, UK, USA, Japan, and Korea. Based on this, this study reviewed all circumstance of barrier free in apartments. The results showed the appropriate rates less than 30% of BF-W and 50% of BF. It seems possible that suggested standard of BF can be applicable to housing and the standard of BF-W is applicable to housing for the wheel-chaired people, if the improvement within apartments occurs. Through review various housing-type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for the general standard, which is possibly applicabl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국내외 무장애주택 관련 기준 비교
Ⅲ. 국내 브랜드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 및 이름대기 과제 유형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행 프로파일
-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브랜드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에 관한 연구
- 국민기초생활수급여부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건강검진사업의 장애영향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 상지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의 터치 키 설계
-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의 효과와 지원방안
- 시ㆍ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 연구
- 한국형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손상환자의 균형능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우반구 뇌손상 환자 발화의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여가참여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 생성이름대기를 통한 정상 노인의 단어 찾기 책략 특성
-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국내 장애인활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컴퓨터 기반 한국형 디자인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