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지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의 터치 키 설계
이용수 199
- 영문명
- Touch Button Design for Smartphone Considering People with Upper Limb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문현주(Moon Hyun Ju) 김석일(Kim Suk Il)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2호, 181~20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터치스크린은 직관적이고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최근 정보기기의 입력 장치로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팔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장애인은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기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손과 팔의 움직임이 어려운 상지장애인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의 터치 키를 설계할 때, 키의 크기와 간격을 어떻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구성된 피실험자 집단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터치 키의 크기와 간격에 따른 입력 성능을 평가하고, 두 집단 간의 입력 성능의 차이점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입력 시간과 오류 횟수의 측면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하여 키의 크기와 간격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았다. 장애인 및 비장애인의 모든 사용자가 빠르고 정확한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터치 키의 크기를 대각선 7mm~11mm 범위에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터치 버튼 간에는 간격을 두어야 하며, 그 폭은 최소 1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ouch screen is becoming widespread as an input device for the information equipment by providing an intuitive, easy-to-use interface. However, for the people with upper limb disabilities, it is difficult to use touch-based input method. This paper presents a preferred way of designing the size and spacing of the touch keys that considering the people with upper limb disabilities.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ize and spacing of touch keys was evaluated targeting the subject groups consisting of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upper limb disabiliti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ople with upper limb disabilities were more greatly affected by the size and spacing of the keys on the performance. In order to ensure that all users of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can perform touch-based input, the size of the touch keys should be diagonally 7mm∼11mm. And for the ease of use, it should be a gap between touch keys and the width should be at least 1mm.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Ⅲ. 실험 설계
Ⅳ. 실험
Ⅴ. 결과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 및 이름대기 과제 유형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행 프로파일
-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브랜드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에 관한 연구
- 국민기초생활수급여부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건강검진사업의 장애영향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 상지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의 터치 키 설계
-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의 효과와 지원방안
- 시ㆍ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 연구
- 한국형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손상환자의 균형능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우반구 뇌손상 환자 발화의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여가참여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 생성이름대기를 통한 정상 노인의 단어 찾기 책략 특성
-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국내 장애인활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컴퓨터 기반 한국형 디자인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