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컴퓨터 기반 한국형 디자인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 연구
이용수 229
- 영문명
- Study of Development and Generalization of Computer-Based Korean Design Visual Perception Testing Tool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소영(Kim So Young) 이근민(Rhee Kun Min) 권상남(Kwon Sang Nam)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9권 제2호, 151~17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필 검사도구인 시지각 검사도구 MVPT-3의 문제점을 보완한 시각적 단축, 검사도구의 학습에 대한 문제해결, 치료의 연계성, 검사의 일관성을 위한 컴퓨터 기반 한국형 디자인 시지각 검사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고찰, 개발원칙과 지침 설정을 위한 조사, 시지각 검사 항목과 디자인 설계, 스토리 보드 작성, 소프트웨어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그램 그림에 대한 타당성 연구,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검사 프로그램의 내적 신뢰도 검증 등의 순서대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검사시간과 채점시간의 단축, 학습의 최소화, 일관성 있는 검사, 데이터베이스와 자료화면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음이 확인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추후 실제 임상장면에서 시지각의 문제가 있는 환자들을 검사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개발된 시지각 검사 프로그램의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결과에 따른 시지각 치료 프로그램도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타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상호협력과 팀 접근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mputer-based Korean design visual perception testing tool which is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testing method, MVPT-3. This computer-based testing tool has advantages in testing time, connections of treatments, learning issue in testing, and consistence of testing over MVPT-3.
In order to develop the computer-based testing tool, literature reviews, investigation for developing policy and guiding principle, design of testing items for visual perception, making a storyboard, coding a software, feasibility study of the pictures in the computer-based testing tool, correction of the tool, and verification for reliability of testing tool were perfo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veloped computer-based Korean visual perception testing tool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sting time and scoring time are shortened comparing with the existing visual perception testing tools. Second, the learning issues from the existing visual perception testing tools can be minimized. Third, the consistent explanation of the tester can be carried out, thus the consistent test results can be achieved. Fourth, all data can be saved by connected with database, so that the performance results can be reviewed right after the test.
The proposed computer-based Korean visual perception testing tool is believed to be very helpful to check the patient with a problem of visual perception in future clinical scen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 주안점 도출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 및 이름대기 과제 유형에 따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행 프로파일
- 노인의 일상생활수행 장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브랜드 아파트 단위세대의 무장애 수준에 관한 연구
- 국민기초생활수급여부가 정신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건강검진사업의 장애영향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 상지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의 터치 키 설계
- 장애인 보조공학 서비스의 효과와 지원방안
- 시ㆍ청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접근성 연구
- 한국형 가상현실재활시스템이 뇌손상환자의 균형능력,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우반구 뇌손상 환자 발화의 정보전달 및 문장 간 결속 특성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여가참여와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 생성이름대기를 통한 정상 노인의 단어 찾기 책략 특성
- 장애인 활동지원 제도 코디네이터가 지각한 직무적합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국내 장애인활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컴퓨터 기반 한국형 디자인 시지각 검사 도구의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