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 비교

이용수  364

영문명
Examining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Self-Determination and Their Efforts to Promote Students' Self-Determin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서효정(Seo Hyo jeong)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0권 제1호, 173~19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3,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ㆍ중등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자기결정행동을 구성하는 7가지 하위요소(선택하기, 의사결정하기, 문제해결하기, 목표설정 및 달성하기, 자기옹호 및 리더쉽, 자기관리/자기조절하기, 자기인식하기)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교수 실행정도, 자기결정이 학생의 학교생활 및 성인생활에 미치는 이점에 대한 인식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총 336명으로 일반교사가 167명, 특수교사가 16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다변량 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선택하기, 의사결정하기, 자기관리/자기조절 기술에서 교사집단별 중요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 선택하기, 의사결정하기, 문제해결하기, 자기옹호하기/리더쉽, 자기관리/자기조절하기, 자기인식하기의 영역에서 교사 집단별 교수실행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 중요도 인식정도와 교수실행의 상관관계는 교사 집단별로 다른 패턴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결정이 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학생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 일반 중등교사와 특수 중등교사의 인식정도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제안들이 제공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self-determination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provided instructions leading to improve students' self-determination.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336 teachers (Four teacher groups; 79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88 second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72 elementary special educators, and 97 secondary special educator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in areas of the choice making, decision making, and self-management/self-regulation and (b)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provided instructions in areas of choice making, decision making, problem solving, self-advocacy/leadership, self-management/self-regulation, and self-awareness across subgroups of teachers. The perceived importance on each of the component elements of the self-determined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actually provided instructions, although different patterns emerged across teacher groups. Finally, the second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impact of self-determination on students' school liv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tailed results and implications to promote students' self-determination a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효정(Seo Hyo jeong). (2015).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 비교. 특수교육학연구, 50 (1), 173-191

MLA

서효정(Seo Hyo jeong).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 비교." 특수교육학연구, 50.1(2015): 173-1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