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 비교
이용수 552
- 영문명
- Writing-Reading Relationship of Elementary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서주영(Seo Ju Young) 김자경(Kim Ja Kyou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0권 제1호, 99~11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3,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을 각 학년수준별로 나누어 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의 경우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모든 읽기 관련 변인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철자쓰기에는 읽기 유창성과 단어 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작문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저학년 일반학생의 경우 쓰기와 읽기가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이해가, 철자쓰기에는 단어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쓰기장애 위험학생의 경우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읽기 관련 변인이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쓰기 유창성에는 읽기 유창성이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철자쓰기에는 단어 인지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 일반학생의 경우 작문과 읽기 이해만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작문에 대해 읽기 이해가 설명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쓰기의 각 하위영역과 읽기와의 관련성이 입증되었으며, 이러한 관련성은 쓰기장애 위험여부와 학년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쓰기장애 위험학생들에게 읽기와 관련한 효과적인 교육적 중재를 제공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riting-reading relationship of elementary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A total of 96 children(Grades 1~6)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 region of P-c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ample, 41 children were identified as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and 55 children were identified as typical students. For the purpose, we examined the writing skills-writing fluency, spelling and composition-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reading fluency, word identific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n we analyzed associations between writing skills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 and influence of the reading on wri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writing skills and reading related variables. Second, in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for writing fluency and spelling. Writing fluency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word identificat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for composition. Third, in the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writing fluency. Reading fluency and word identification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spelling. And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composition. Finally, in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at risk, reading fluency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writing fluency and work identification accounted f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in spell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writing-reading relationship. And there are different reading related variables for writing skills among the groups. Our finding is useful to develop instruction for the students at risk for writing disabilities.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we examined only reading related variables. So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clude other variabl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동향분석 및 과제
-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 비교
- 시청각적 매체를 활용한 직업훈련프로그램이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요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개선에 대한 유급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요구 조사
-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장애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인식 조사
-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 비교
- 하이테크 보조공학을 활용한 읽기유창성 중재의 특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다층메타분석을 활용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을 위한 중재효과분석
- 고등학교시기에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ㆍ배치된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특수학급 적응 경험
-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능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교육 요구도 분석
-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인식유형
- 발달장애자녀를 위한 부모의 평생계획 현황 및 요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