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이테크 보조공학을 활용한 읽기유창성 중재의 특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385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High-Tech Assistive Technologies (AT) in Improving Reading Fluenc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Difficul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경(Kim Min Kyung) 박유정(Park Yu jeong)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0권 제1호, 79~9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3,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읽기부진 및 읽기장애를 대상으로 한 국내외 읽기유창성 중재 연구들에 나타난 보조공학 활용의 중재효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보조공학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문헌분석 연구는 1986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된 실험연구(집단대상 및 단일대상)중 포함/제외기준에 적합한 총 15편을 선정하여 읽기유창성 중재에 사용된 독립변인(교수방법 및 보조공학 도구)과 종속변인(읽기유창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녹음기는 1986년 이래 최근까지 비교적 꾸준히 사용되어 온 반면, 비디오카메라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2001년 이후 연구에서 나타났고 최근 연구에서는 중재에 아이패드가 포함되었다. 총 15편의 연구 중 10편의 연구가 반복읽기 교수, 또래 함께 읽기 전략, 이야기 재연 전략 등의 읽기전략 교수와 결합하여 중재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함께 보조공학을 활용한 효율적인 읽기유창성 교수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review were to (1) explore general features and trends of AT-assisted instructions for improving reading fluency for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difficulties, and (2)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related research and practices on reading fluency instruction combined with AT. Fifteen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6 and 2015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voice recorders have been consistently used since 1986, video cameras and computer programs have been applied after 2001; second, in the most recent study of this review, iPad was included in the intervention; third, 10 of 15 studies reviewed were associated with reading strategies such as repeated reading, peer-paired reading, and story-telling strategy. Lastly, discussion and suggestions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were provided.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의 동향분석 및 과제
-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자기결정행동 구성요소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 비교
- 시청각적 매체를 활용한 직업훈련프로그램이 비고용 지적장애인의 요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개선에 대한 유급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요구 조사
-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으로 입학한 장애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인식 조사
- 쓰기장애 위험학생과 일반학생의 쓰기 하위영역별 읽기 변인과의 관련성 비교
- 하이테크 보조공학을 활용한 읽기유창성 중재의 특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다층메타분석을 활용한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을 위한 중재효과분석
- 고등학교시기에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ㆍ배치된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특수학급 적응 경험
-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능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교육 요구도 분석
-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인식유형
- 발달장애자녀를 위한 부모의 평생계획 현황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