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리적가중회귀분석 적용을 통한 변이공간지역에서의 손실함수 결정
이용수 48
- 영문명
- Application of Geological Weighted Regression to Establish Loss Functions Reflecting Spatial Varia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정태성 Imee V. Necesito 유인상 정상만 Taesung Cheong Insang Yu Sangman Jeo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5호, 359~37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홍수피해액 추정은 지역별 재해예방 및 대응을 위한 홍수위험도평가나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사업타당성 평가를 위한 핵심요인으로 주로 손실함수(Loss Function)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손실함수는 홍수심-피해액 관계를 함수화한 것으로써 대부분 단순회귀분석(OLS)과 같은 전역회귀모형(GRM)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8월 홍수 직후 군산시 지역에서 구축된 GIS기반 피해흔적지도로부터 홍수심 자료를 수집하고 주민들의 신고에 기반하여 지자체에서 구축한 건물 위치별 피해액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OLS로 수심에 대한 주거건물, 상업건물, 농업시설 피해액을 추정한 후 결정계수와 공간적 상관성 등 정량적 검토를 통해 모형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과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잔차의 공간적 상관성 때문에 GRM보다는 지역회귀모형(LRM)이 홍수피해를 추정하는데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회귀모형 중 지리적가중회귀모형(GWR)을 선정하고 손실함수를 개발하였으며, 그 결과 추정치는 공간적 변이를 잘 재현하며 단순회귀분석에 비해 정확도 높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방법론은 충분히 활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본 방법은 공간적 변이를 고려하여 지점별 손실함수를 개발하므로 GIS정보를 활용한다면 각 건물 위치에서 보다 정확한 홍수심별 피해액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문 초록
Flood damage estimated by loss function is main factor to assess flood risk for local disaster prevention and response or projec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loss function as an empirical flood depth-damage curve is generally established by Ordinary Least Squares (OLS) as a Global Regression Model (GRM). This study collects flood depths from GIS based flood inundation map and damages of local buildings from damages report collected by local government after flooding on August, 2012 in Gunsan City. The OLS is used to estimate damages of residential, commercial and agricultural buildings and then estimates are assessed quantitatively wit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spatial autocorrelation. The assessment results show that the Local Regression Model (LRM) is more adaptive than the GRM to estimate damages because the spatial patterns of residuals exhibit spatial autocorrelation.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developed here as one of the local regression model to establish the loss function not only capturing the spatial variations of the affecting factors but also modifying the OLS is proposed for future applications. This method have loss functions at each spatial locations which can estimates optimum damages with flood depths at each buildings defined by GIS informa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림지역과 기상대의 기상인자를 활용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 변화 분석
- 북한의 재난발생에 따른 남한의 대응에 관한 기초 연구
- 지반복원 및 석유시추에 활용되는 바이오폴리머 용액의 특성 연구
- 지하수위 변동과 지진동에 따른 산사태 평가
- 지역별 방재역량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 차등화
- 재해시 임시대피거점으로서의 학교 계획지침에 관한 연구
-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예측: 2. 내적 변동성
- 문화재 재난위험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기후변화와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금강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특성 변화 분석
- 2차원 침수모의를 위한 지형분석모델 영향 분석
-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예측: 1. GCM과 RCP 불확실성
- 토석류에 의한 건물의 물리적 취약함수 특성
- 지리적가중회귀분석 적용을 통한 변이공간지역에서의 손실함수 결정
- 한국의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제도운영 개선방안 연구
- WQF 기준 LID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계 유량 산정
- 파랑의 감쇠 특성을 고려한 해안림의 방재효과
- 실규모의 실험용 대공간에서 연기제어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우레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활용한 상온 포트홀 보수재 개발
- 유역기반의 수문, 수리, 침식 및 유사이송 모의를 위한 통합모형
- 시간영역반사법을 이용한 현장함수비와 건조밀도 측정
- 사면의 기하학적 증폭특성을 고려한 지진시 산사태 예측기술개발 Ⅰ: 지진시 서울지역 산사면의 기하학적 증폭 특성 분석
- 우수관로 경사 조정에 따른 토사 퇴적 특성 분석
- SCS 유출곡선지수 방법 적용시 토양도의 변경이 미치는 영향 검토
- 화재감시 이동로봇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성능설계법을 적용한 강구조물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차량속도와 라이즈비에 따른 타이드 아치형 거더의 동적증폭
- 주행 중 차실 내에서 발생한 외제승용차 화재 사례의 분석
- S밴드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대기수상체 분류 사례분석
- 간이평가법을 활용한 지반액상화 위험지도 작성
- 송도 준설토의 침강 및 압밀특성
- Local Hazard Mitigation Plan (LHMP) is Properly Working?: Evaluation for the LHMP of Kumamoto City
- 사면의 기하학적 증폭특성을 고려한 지진시 산사태 예측기술개발 Ⅱ : 서울지역 지진시 산사태 재해도 작성
- 스마트 댐퍼구현을 위한 자력마찰 댐퍼 성능실험
- 혼합형 마찰댐퍼 구성요소의 성능평가 Ⅱ : 슬롯형 마찰요소
- 래티스 절단부의 위치에 따른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의 성능평가
- 국내 산악지역의 유출곡선지수 산정 문제점 평가
- 열감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동작 시간 분석
- 동축케이블과 시간영역반사법을 이용한 암반사면 전단변위 계측
- 다중이용시설 구획 공간에서의 화재 및 연기 확산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누설자속기반 철도레일 국부결함의 비접촉 탐상 기술
- 탄성파 속도를 활용한 암석의 균열밀도 산정
- 지상변압기 중성선 접지 탈락에 의한 화재위험성 고찰
- 밀도류를 고려한 저수지내 오탁물질의 유동장 수치해석
- 산불재해로 인한 열유속 영향평가 및 위험지도 구축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 대공간 화재해석을 위한 난류모델의 특성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