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재 재난위험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127

영문명
A Study on the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the Heritage's Disaster Risk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조홍석 서현정 Cho, Hong Seok Seo, Hyeon Jeong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5호, 173~18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재난관리적 측면에서 문화재 및 재난 유형을 체계화하고, 분석항목 및 위험도 평가의 기준을 설정, 경상북도 소재 국가지정문화재를 대상으로 개별 문화재의 재난관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검토함으로써 재난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예방과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재의 유형을 조성주체에 따라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으로 구분하고, 이를 이동성을 기준으로 부동산문화재와 동산문화재로 각각 구분함으로써 재난상황에 대한 긴급 대피의 용이성 및 도난 위험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분류하는 한편, 재난유형을 조사대상문화재에 미칠 수 있는 주요 재난상황을 고려하여 총 6가지(화재, 풍수해, 지진, 낙뢰, 병충해, 도난 및 훼손)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로 인해 문화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인자를 크게 외부요인(위협요인)과 내부요인(취약요인)으로 나누어 각 재난단계(재난원인, 재난유형, 재난피해)에 따라 미칠 수 있는 강점(보완)요인과 약점(위험)요인에 대해 세부적으로 규정하고, 이를 기초로 현황점검 및 개선대책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Gyeongsangbuk-do in government-designated heritage in the disaster management aspects and the types of disasters, organizing and analyzing items and risk assessments, by reviewing individual cultural assets of disaster management issues and ways to improve disaster for more effectiv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re proposed. Composition of the specific type of cultural property, subject to the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and separated by the mobility separated from each real estate cultural heritage and the garden as a cultural asset, allowing for ease of evacuation in a disaster situation and to determine the degree theft by classified cultural property surveyed the types of disasters that can have a major disaster situation, while considering were classified into six different types(fire, storm or flood, earthquake, lightning, insects, theft and tampering). And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cultural property, which causes the external factors(threats) and internal factors(vulnerable factors) divided by each step disaster(disaster causes, types of disasters, disaster, depending on the damage) that can affect the strengths(complementary elements) and weaknesses(risks) for detailed regulations and checks and measures to improve the status on this basis, are deriv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홍석,서현정,Cho, Hong Seok,Seo, Hyeon Jeong. (2014).문화재 재난위험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4 (5), 173-187

MLA

조홍석,서현정,Cho, Hong Seok,Seo, Hyeon Jeong. "문화재 재난위험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4.5(2014): 173-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