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공간 화재해석을 위한 난류모델의 특성 연구
이용수 42
- 영문명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urbulence Models for Numerical Fire Analysis in Large Space Structur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안찬솔 Ahn, Chan-so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5호, 219~22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FDS(Fire Dynamics Simulator)는 국내에서 화재해석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가장 보편적인 소프트웨어 중의 하나이다. 미국의 NIST에서 25년간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인터넷 상에서 무료로 배포되고 있어 전 세계의 화재관련 연구자 및 학생들이 연구 및 학습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전문가들에 의해 검증되어온 소프트웨어이다. 하지만 FDS가 난류해석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Smagorinsky의 LES(Large Eddy Simulation)모델은 현재까지 발표된 LES모델 중 가장 초기의 모델로서 건축물과 같이 복잡한 형상을 갖는 계산영역에서는 결과의 신뢰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FDS의 대공간의 화재해석 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스페인 Murcia에서 수행된 Murcia Atrium Fire Test를 해석 대상으로 하여 FDS가 사용하고 있는 4가지의 LES모델의 대공간 화재해석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로 Dynamic Smagorinsky 모델이 실험값에 가장 근접한 결과를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FDS (Fire Dynamics Simulator) is one of the most universal software used for fire analysis in Korea. It's the software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updated for 25 years by NIST in USA and online distributed at no cost for use by the researchers and students worldwide who are engaged in fire research as well as has long been verified by the experts. Then Smagorinsky's LES (Large Eddy Simulation) model adopted in FDS for turbulence analysis is the model developed earlier than any other LES models and is known to be far behind in terms of reliability when applying to calculation of the building with complex shape.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fire analysis performance of FDS in large space, is intend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large-space fire analysis of 4 different types of LES model used in FDS with Murcia Atrium Fire Test conducted in Murcia in Spain and consequently, it's confirmed that Dynamic Smagorinsky model predictes the outcome which is closer to experiment value than any oth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해시 임시대피거점으로서의 학교 계획지침에 관한 연구
- 파랑의 감쇠 특성을 고려한 해안림의 방재효과
- 간이평가법을 활용한 지반액상화 위험지도 작성
- 토석류에 의한 건물의 물리적 취약함수 특성
- 지하수위 변동과 지진동에 따른 산사태 평가
- 탄성파 속도를 활용한 암석의 균열밀도 산정
-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예측: 1. GCM과 RCP 불확실성
- 문화재 재난위험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사면의 기하학적 증폭특성을 고려한 지진시 산사태 예측기술개발 Ⅰ: 지진시 서울지역 산사면의 기하학적 증폭 특성 분석
- Local Hazard Mitigation Plan (LHMP) is Properly Working?: Evaluation for the LHMP of Kumamoto City
- 사면의 기하학적 증폭특성을 고려한 지진시 산사태 예측기술개발 Ⅱ : 서울지역 지진시 산사태 재해도 작성
- 유역기반의 수문, 수리, 침식 및 유사이송 모의를 위한 통합모형
- 기후변화와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금강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특성 변화 분석
- 대공간 화재해석을 위한 난류모델의 특성 연구
- 우레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활용한 상온 포트홀 보수재 개발
- 화재감시 이동로봇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2차원 침수모의를 위한 지형분석모델 영향 분석
- 국내 산악지역의 유출곡선지수 산정 문제점 평가
- 실규모의 실험용 대공간에서 연기제어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산불재해로 인한 열유속 영향평가 및 위험지도 구축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 산림지역과 기상대의 기상인자를 활용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 변화 분석
- 북한의 재난발생에 따른 남한의 대응에 관한 기초 연구
- 성능설계법을 적용한 강구조물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누설자속기반 철도레일 국부결함의 비접촉 탐상 기술
- 다중이용시설 구획 공간에서의 화재 및 연기 확산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지상변압기 중성선 접지 탈락에 의한 화재위험성 고찰
- 지리적가중회귀분석 적용을 통한 변이공간지역에서의 손실함수 결정
- 우수관로 경사 조정에 따른 토사 퇴적 특성 분석
- 차량속도와 라이즈비에 따른 타이드 아치형 거더의 동적증폭
- 열감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동작 시간 분석
- SCS 유출곡선지수 방법 적용시 토양도의 변경이 미치는 영향 검토
- 주행 중 차실 내에서 발생한 외제승용차 화재 사례의 분석
- WQF 기준 LID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계 유량 산정
- 혼합형 마찰댐퍼 구성요소의 성능평가 Ⅱ : 슬롯형 마찰요소
- 밀도류를 고려한 저수지내 오탁물질의 유동장 수치해석
- 한국의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제도운영 개선방안 연구
- 지반복원 및 석유시추에 활용되는 바이오폴리머 용액의 특성 연구
- 동축케이블과 시간영역반사법을 이용한 암반사면 전단변위 계측
- 래티스 절단부의 위치에 따른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의 성능평가
- 송도 준설토의 침강 및 압밀특성
- 시간영역반사법을 이용한 현장함수비와 건조밀도 측정
- 지역별 방재역량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 차등화
-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예측: 2. 내적 변동성
- 스마트 댐퍼구현을 위한 자력마찰 댐퍼 성능실험
- S밴드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대기수상체 분류 사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학습성과 평가를 활용한 공학교육인증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간 상호인정 방안
- 공학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목차
- 공감 기반의 공학설계 교육 사례: 인간, 사회, 기술을 연결하며 디자인하다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