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림지역과 기상대의 기상인자를 활용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 변화 분석

이용수  98

영문명
The Analysis on Moisture Contents of Forest Fuel Using Weather Factors in Forest Land and Weather Station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채희문 Chae, hee mun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5호, 205~212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0.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은 산불의 발화 가능성 및 산불의 행동에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들은 기상인자이고 기상인자와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변화의 관계를 밝히는 것은 산불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지역의 봄철 및 가을철 산불 조심기간 동안 기상인자에 따른 임지내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분석은 임지내에 낙하한 활엽수인 떡갈나무 잎과 침엽수인 소나무 잎을 사용하였으며, 산불조심기간 동안 매일 측정하였다. 임지내와 임지외의 기상현상의 차이에 따라서 산림연료의 수분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임지내에 기상기록장치(HOBO data logger)를 설치하여 이들의 자료와 기상대의 자료를 비교 분석 하였다. 기상인자와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변화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임지내에서는 두 수종 모두에서 최고온도($^{\circ}C$ 수식 이미지)와 상대습도(%)가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임지외의 기상인자와의 관계에서는 봄철 산불 조심기간 동안 최저온도가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강우 후 산림연료의 수분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 강우 후 1일내지 2일정도가 지나면 20~30% 이내로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moisture contents of forest fuel are very important roles in behavior and ignition of forest fire. Fuel moisture contents are determined by various weather factors around forest fuel, therefor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fuel moisture contents and weather should be carri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on the change of forest fuel moisture contents by weather factors into forest land during forest fire danger seasons(spring and fall) at chuncheon area of Gangwon in 2013 year. The leaves of Quercus dentata Thunb. ex Murray, and needles of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that drop in the forest land were used to analysis on forest fuel moisture contents. The moisture contents of forest fuel were measured daily during forest fire danger seasons. Weather recording device(HOBO data logger) was installed in forest land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of fuel moisture contents within the forest land by weather factors. Meteorological data obtained in the forest and meteorological data of chuncheon weather station were analyzed. Among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n fuel moisture contents and meteorological data of forest land and weather station, the maximum temperature($^{\circ}C$ 수식 이미지) and relative humidity(%) were significant during the forest fire danger season(spring and fall) in the meteorological data of forest land and only the maximum temperature($^{\circ}C$ 수식 이미지) was significant during the spring forest fire danger season in meteorological data of weather station. The fuel moisture contents of forest fuel after precipitation during forest fire danger seasons(spring and fall) were decreased sharply within 20~30% in one or two day after rainfall.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희문,Chae, hee mun. (2014).산림지역과 기상대의 기상인자를 활용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 변화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4 (5), 205-212

MLA

채희문,Chae, hee mun. "산림지역과 기상대의 기상인자를 활용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 변화 분석."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4.5(2014): 205-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