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와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금강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특성 변화 분석
이용수 172
- 영문명
- Analysis of Future Hydrological Cycle consider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Hydraulic Structures in Geum River Basi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전환돈 김수전 Jun, Hwandon Kim, Sooju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5호, 299~30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함께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금강유역의 미래 수문순환의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SWAT을 이용하여 금강유역에 대한 유출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금강 본류에 시공된 3개의 보 요소를 저수지 요소로 입력하였다. 3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3개의 기후모형으로 구성된 9개의 기상계열을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과거기간(1980-2009)을 기준으로 미래 3개의 기간(2010-2039, 2040-2069, 2070-2099)을 구분하고 유역의 수문순환 특성의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강수량의 증가, 융설량의 감소, 증발산량의 증가, 토양수분량의 감소, 유출량의 증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 유출특성을 분석한 결과 중장기적으로 유출량과 불확실성이 증가하였다. 월별 유출 분석 결과 홍수기 유출량의 증가와 갈수기 유출량의 감소 특성으로 인하여 미래에 홍수와 가뭄의 발생빈도 및 규모가 증가할 것이며 특히 가뭄피해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hydraulic structures on future hydrological cycle in the Geum river basin. The rainfall-runoff model was built up using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nd the three weirs were input to the model as reservoir factor. The nine weather data series consisted by the thre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three climate models were used as input data sets of the model. The spatio-temporal change of the hydrological cycle characteristics was explored in the three future periods (2010-2039, 2040-2069, 2070-2099)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period (1980-2009). As a result, the trends showed the increase of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and runoff and the decrease of snowmelt and soil water content. The runoff and its uncertainty increased in the mid-term and long-term from the estimated result. Both of the flood and drought risk was predicted to increase due to the increased runoff in wet season and the decreased runoff in dry season. Especially drought damage will be the most serious in the futur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재해시 임시대피거점으로서의 학교 계획지침에 관한 연구
- 파랑의 감쇠 특성을 고려한 해안림의 방재효과
- 간이평가법을 활용한 지반액상화 위험지도 작성
- 토석류에 의한 건물의 물리적 취약함수 특성
- 지하수위 변동과 지진동에 따른 산사태 평가
- 탄성파 속도를 활용한 암석의 균열밀도 산정
-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예측: 1. GCM과 RCP 불확실성
- 문화재 재난위험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사면의 기하학적 증폭특성을 고려한 지진시 산사태 예측기술개발 Ⅰ: 지진시 서울지역 산사면의 기하학적 증폭 특성 분석
- Local Hazard Mitigation Plan (LHMP) is Properly Working?: Evaluation for the LHMP of Kumamoto City
- 사면의 기하학적 증폭특성을 고려한 지진시 산사태 예측기술개발 Ⅱ : 서울지역 지진시 산사태 재해도 작성
- 유역기반의 수문, 수리, 침식 및 유사이송 모의를 위한 통합모형
- 기후변화와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금강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특성 변화 분석
- 대공간 화재해석을 위한 난류모델의 특성 연구
- 우레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활용한 상온 포트홀 보수재 개발
- 화재감시 이동로봇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2차원 침수모의를 위한 지형분석모델 영향 분석
- 국내 산악지역의 유출곡선지수 산정 문제점 평가
- 실규모의 실험용 대공간에서 연기제어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산불재해로 인한 열유속 영향평가 및 위험지도 구축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 산림지역과 기상대의 기상인자를 활용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 변화 분석
- 북한의 재난발생에 따른 남한의 대응에 관한 기초 연구
- 성능설계법을 적용한 강구조물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누설자속기반 철도레일 국부결함의 비접촉 탐상 기술
- 다중이용시설 구획 공간에서의 화재 및 연기 확산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지상변압기 중성선 접지 탈락에 의한 화재위험성 고찰
- 지리적가중회귀분석 적용을 통한 변이공간지역에서의 손실함수 결정
- 우수관로 경사 조정에 따른 토사 퇴적 특성 분석
- 차량속도와 라이즈비에 따른 타이드 아치형 거더의 동적증폭
- 열감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동작 시간 분석
- SCS 유출곡선지수 방법 적용시 토양도의 변경이 미치는 영향 검토
- 주행 중 차실 내에서 발생한 외제승용차 화재 사례의 분석
- WQF 기준 LID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계 유량 산정
- 혼합형 마찰댐퍼 구성요소의 성능평가 Ⅱ : 슬롯형 마찰요소
- 밀도류를 고려한 저수지내 오탁물질의 유동장 수치해석
- 한국의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제도운영 개선방안 연구
- 지반복원 및 석유시추에 활용되는 바이오폴리머 용액의 특성 연구
- 동축케이블과 시간영역반사법을 이용한 암반사면 전단변위 계측
- 래티스 절단부의 위치에 따른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의 성능평가
- 송도 준설토의 침강 및 압밀특성
- 시간영역반사법을 이용한 현장함수비와 건조밀도 측정
- 지역별 방재역량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 차등화
-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예측: 2. 내적 변동성
- 스마트 댐퍼구현을 위한 자력마찰 댐퍼 성능실험
- S밴드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대기수상체 분류 사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학습성과 평가를 활용한 공학교육인증과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간 상호인정 방안
- 공학교육연구 제28권 제2호 목차
- 공감 기반의 공학설계 교육 사례: 인간, 사회, 기술을 연결하며 디자인하다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