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토석류에 의한 건물의 물리적 취약함수 특성
이용수 125
- 영문명
- Physical Vulnerability Function of Buildings Impacted by Debris Flow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강효섭 김윤태 Kang, Hyo-sub Kim, Yun-ta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4권5호, 133~14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1년 7월과 8월 사이에 발생한 총 8개 토석류 재해 지역에 대한 재해이력 사례를 분석하여 각 재해지역의 토석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각 재해지역에서 피해를 입은 15개 건물에 대한 손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석류의 물리적 특성과 건물 손상정도를 바탕으로 토석류의 높이, 속도 및 충격압력으로 구성된 취약함수를 구하였다. 또한 보강 콘크리트 구조와 비 콘크리트 구조와 같은 건물의 구조 형식에 따른 취약함수를 각각 산출하였다. 비 콘크리트 건물의 경우 토석류 충격압이 30 kpa 이상일 때 완전 파괴, 15~30 kPa일 때 심각한 손상, 0~15 kPa일 때 경미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비해 보강 콘크리트 건물의 경우 100 kPa 이상에서 심각한 손상, 35~100 kpa일 때 보통 손상, 0~35 kPa일 때 경미한 손상을 입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콘크리트 건물의 경미한 손상에 대응하는 토석류 충격압은 비 콘크리트 건물에서는 완전 파괴에 해당되는 손상을 가져다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건물 구조형식과 토석류 물리적 특성에 따른 취약곡선을 비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함수형태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토석류 취약함수는 토석류 재해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의 건물손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s were analyzed from a total of 8 cases of debris flow disasters occurred in between July and August, 2011. 15 buildings damaged in these events were also investigated in detail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building damages by debris flows. Physical vulnerability was obtained from the relationship of the degree of building damage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Three different empirical vulnerability curves were obtained, which were functions of debris flow height, flow velocity and impact pressure,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vulnerability function was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 structural types of the building. In the case of non-concrete building, a complete destruction occurred at the impact pressure of more than 30 kPa, an extensive damage at the impact pressure between 15 and 30 kPa, a slight damage at the impact pressure below 15 kPa. In the case of reinforced-concrete buildings, an extensive damage occurred at the impact pressure of more than 100 kPa, a moderate damage at the impact pressure between 35 and 100 kPa, a slight damage at the impact pressure below 35 kPa. The impact pressure of debris flow corresponding to a slight damage to the reinforced-concrete building produced a complete damage for the case of non-concrete building,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nd the building structural type. The proposed physical vulnerability curves could be used as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structural resistance of buildings affected by a debris flow ev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림지역과 기상대의 기상인자를 활용한 산림연료의 수분 함량 변화 분석
- 북한의 재난발생에 따른 남한의 대응에 관한 기초 연구
- 지반복원 및 석유시추에 활용되는 바이오폴리머 용액의 특성 연구
- 지하수위 변동과 지진동에 따른 산사태 평가
- 지역별 방재역량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 차등화
- 재해시 임시대피거점으로서의 학교 계획지침에 관한 연구
-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예측: 2. 내적 변동성
- 문화재 재난위험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 기후변화와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금강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특성 변화 분석
- 2차원 침수모의를 위한 지형분석모델 영향 분석
- 불확실성을 고려한 기후변화 예측: 1. GCM과 RCP 불확실성
- 토석류에 의한 건물의 물리적 취약함수 특성
- 지리적가중회귀분석 적용을 통한 변이공간지역에서의 손실함수 결정
- 한국의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제도운영 개선방안 연구
- WQF 기준 LID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계 유량 산정
- 파랑의 감쇠 특성을 고려한 해안림의 방재효과
- 실규모의 실험용 대공간에서 연기제어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 우레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를 활용한 상온 포트홀 보수재 개발
- 유역기반의 수문, 수리, 침식 및 유사이송 모의를 위한 통합모형
- 시간영역반사법을 이용한 현장함수비와 건조밀도 측정
- 사면의 기하학적 증폭특성을 고려한 지진시 산사태 예측기술개발 Ⅰ: 지진시 서울지역 산사면의 기하학적 증폭 특성 분석
- 우수관로 경사 조정에 따른 토사 퇴적 특성 분석
- SCS 유출곡선지수 방법 적용시 토양도의 변경이 미치는 영향 검토
- 화재감시 이동로봇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성능설계법을 적용한 강구조물의 내화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 차량속도와 라이즈비에 따른 타이드 아치형 거더의 동적증폭
- 주행 중 차실 내에서 발생한 외제승용차 화재 사례의 분석
- S밴드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대기수상체 분류 사례분석
- 간이평가법을 활용한 지반액상화 위험지도 작성
- 송도 준설토의 침강 및 압밀특성
- Local Hazard Mitigation Plan (LHMP) is Properly Working?: Evaluation for the LHMP of Kumamoto City
- 사면의 기하학적 증폭특성을 고려한 지진시 산사태 예측기술개발 Ⅱ : 서울지역 지진시 산사태 재해도 작성
- 스마트 댐퍼구현을 위한 자력마찰 댐퍼 성능실험
- 혼합형 마찰댐퍼 구성요소의 성능평가 Ⅱ : 슬롯형 마찰요소
- 래티스 절단부의 위치에 따른 철선일체형 데크플레이트의 성능평가
- 국내 산악지역의 유출곡선지수 산정 문제점 평가
- 열감지기의 설치위치에 따른 동작 시간 분석
- 동축케이블과 시간영역반사법을 이용한 암반사면 전단변위 계측
- 다중이용시설 구획 공간에서의 화재 및 연기 확산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누설자속기반 철도레일 국부결함의 비접촉 탐상 기술
- 탄성파 속도를 활용한 암석의 균열밀도 산정
- 지상변압기 중성선 접지 탈락에 의한 화재위험성 고찰
- 밀도류를 고려한 저수지내 오탁물질의 유동장 수치해석
- 산불재해로 인한 열유속 영향평가 및 위험지도 구축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 대공간 화재해석을 위한 난류모델의 특성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