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劉熙載論草書
이용수 6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陳名生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3호, 297~31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희재는 저서『藝概·書概』에서 각 서체에 대해 상당히 계통적인 서체론을 제기하고 있다. 그중 초서에 대한 논술은양적으로 풍부하고 상세할 뿐더러, 초서의 깊은 이해에 기초한 高明한 견해가 담겨 있어, 오늘에 이르기까지 학서자들의 초서 연구에 빛을 비추어주고 있다. 다만 후세의 많은 사람들이 그의 초서론을 연구해왔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연구의 폭과 깊이가 아직 완전하다고 볼 수 없으며 현대 예술의 관점에서 좀 더 보완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본 논문은 먼저 유희재의 章草와 稿書에 대한 논증을 검토하고, 이어 서예미학에서 말하는 대립과 통일의 두 범주인 ‘意’와 ‘法’ 및 ‘動’과 ‘靜’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 ‘用筆’ㆍ‘結構’ㆍ‘布白’ 등과관련된 유희재의 초서기법론에 대해 심도있게 살펴봄과 아울러, 서사자의 감정과 마음 상태라는 기법과 무관한 요소가 초서의 창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刘熙載在≪艺概ㆍ书概≫中提出了較為系統的書體論,其中對草書的論述最為詳盡,文中的真知灼見,至今熠熠生輝。儘管後世不乏有識之士對其草書論的探討,但都不夠全面、深入。文章從劉熙載的章草、稿書之考辨談起,分析了書法中的兩個對立統一即意與法、動與靜的關係,接著從用筆、結體與布白等方面對劉氏草書技法論進行探究,並明確書寫情態這一非技法因素對於草書創作的重要性,最後加以總結。
목차
<논문요약>
一、章草、稿書之考辨
二、意法
三、動靜
四、用筆
五、結體與布白
六、書寫情態
七、結語
<參考文獻>
中文摘要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