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行氣玉銘 銘文考察

이용수  49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민승준(闵 俊)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3호, 87~11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28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行氣玉銘은 중국 현존하는 최초의 기수련 이론을 담은 국보급 유물이다. 천진박물관이 민간유물을 수집하다가 行氣玉銘을 구하게 되었는데 그 銘文은 45자의 짧은 글이지만 그 뜻은 매우 심오하다. 行氣玉銘 銘文에서 天人合一하는 氣呼吸法을 깨우치면 훌륭한 서예작품을 할 수 있다고 본다. 行氣玉銘은 호흡을 통해 기를 수련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사람과 자연 사이의 氣의 운행이 수련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잘 설명해 주고 있어 黄帝内經에 버금가는 제일 오래된 완성도 있는 醫術유물로 보여진다. 천진박물관이 소장중인 行氣玉銘의 銘文은 氣를 수련하는 데 있어서 최초로 眞氣를 운행하는 回合의 전 과정을 매우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중국의 氣수련이 고대사회에 이미 상당히 높은 경지에 도달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어 그 연구 가치는 매우 높다. 숨 쉬는 것은 자연과 사람이 주고받는 흐름이다. 삼키고 토하며 주고받는 움직임의 반복 순환에서 에너지가 생긴다. 이 힘을 이용해야 한다. 가늘고 길게 오래하는 氣呼吸을 통해 자연스럽게 떨리는 움직임까지 세심해 지면 天人合一하는 작품을 할 수 있다. 신선한 자료로 서체미의 변화과정을 탐구해 볼 수 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行氣玉銘은 호흡과 연관된 인체 내에서의 氣의 흐름에 대해 포괄적인 과정을 논술하고 있으며 기공수련에 관한 기록자료 중 가장 오래된 유물인 동시에 춘추시대 유행하던 주조기법의 銘文에서 보여지는 묵직함과 용주감 있는 글씨체와는 다른 맛을 풍기고 있어 전국시대 서체의 발전과정을 새로운 시각으로 음미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런 독특한 行氣玉銘의 서체미를 심층적으로 고찰해 본다면 서예창작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영문 초록

行氣玉銘文是中國現存的最早的關於養生的理論, 由天津博物館從民間收集并拯救的一件國寶. 雖然這件器物只有短短的45字, 但具有深邃的意義. 行氣玉銘銘文既記載了當時人們對“天人合一”氣呼吸法的領悟, 同時也是一件優秀的書法作品. 行氣玉銘通過對呼吸說明氣的修煉方法, 并對人與自然之間氣的流動運行是否會對養生產生影響進行了詳細說明, 是僅次於黃帝內經的最為古老的醫學成就. 天津博物館收藏的行氣玉銘銘文中關於氣的修煉所表達的即在真氣運行回合之前的过程是很可信的, 并向我們展現出這種氣功在中國古代已經達到了相當高的境界, 因此具有較高的研究價值. 呼吸是自然與人收放流動的氣息. 在吞吐與收放的動感之中反復循環產生能量, 並使這種力量得以利用. 通過增加呼吸的深度與時間可以自然而然的產生顫動從而達到天人合一. 行氣玉銘論述了呼吸及包括相關人體內的氣的流動在內的全過程, 作為最古老的關於氣功的記載文獻, 它對科學界、文字學界都具有重要的意義. 其不同於具有沉重感與熔鑄感的春秋時期熔鑄文字的書體風格, 讓我們可以看到戰國書體的發展過程. 在此, 我認為如果我們對如此特別的行氣玉銘文進行深層次的觀察研究, 將會對書法的創作有著較大的幫助.

목차

<논문요약>
Ⅰ. 序言
Ⅱ. 行氣玉銘 分析
Ⅲ. 行氣玉銘 銘文 考釋
Ⅳ. 行氣玉銘 書藝創作 活用
Ⅴ. 結語
<참고문헌>
中文摘要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승준(闵,胜,俊). (2013).行氣玉銘 銘文考察. 서예학연구, (23), 87-119

MLA

민승준(闵,胜,俊). "行氣玉銘 銘文考察." 서예학연구, .23(2013): 87-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