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草書의 藝術性에 대한 東漢時代 士大夫의 認識 硏究
이용수 108
- 영문명
- The artistry recognition of the Sadeabu’s cursive characters according to Cheong-eui system in China's East Han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남치우(Nam, Chi-woo)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3호, 121~1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東漢시대 출현한 士大夫들은 淸議제도를 통해서 지도층의 도덕성을 문제삼았다. 그러나 환관이 난무하고 잦은 부정 선거가 횡횡하자 사대부들은 생사의 위협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대부들은 인간의 윤리도덕화의 추구를 버리지 않았는데, 이러한 관점은 정치적 여론견제로 사용되었던 청의제도를 예술 담론의 장으로 변화하는 공헌을 낳았다. 이른바 인물평을 중심으로 정치적으로 건전한 사회문화를 이끌어갔던 청의의 존립이유를 지적 사유의 확산의 논쟁을 통해서 도덕적 예술을 담론하는 장으로 변환시킨 것이다. 특히 그들의 담론 중에서도 초서의 흥기와 맞물려 초서의 예술성과 예술의 사회문화적 효능에 주목한 논쟁이 일어났다.
예컨대 초서의 실용성을 功用적 측면에서 서체발전사로 본 崔瑗에 비해, 趙壹은 초서는 전쟁시 급속한 서신왕래가 필요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그 의미를 평가절하고 있다. 초서는 중복을 덜어내어 쉬운 것만을 취한 것이기 때문에 본래 문자가 만들어진 법도가 훼손된 것으로 인지한다. 초서의 출현이 창힐이 문자를 만든 취지에 부합하다는 최원의 입장을 뒤엎어 오히려 蒼頡의 법도를 버린 것으로 규정한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초서를 배우는 것이 “聖人之業이 아니다.”라는 논지를 펴기 위한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글씨의 美的 가치에 주목하기 보다는 그 글씨가 담고 있는 내용과 그 내용에 임하는 작가의 자세와 태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서 초서의 가치를 비판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조일은 초서라는 서체의 예술성에는 주목하고 있지는 않는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書가 존재하는 목적과 書가 담아내야 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주목해서 선후본말적 차원에서 자신의 주장을 폈다고 하겠다. 경전공부를 통해서 立德, 立功 해야하는 사대부로의 책무의식을 지키는 일이 書를 공부하는 목적이라고 파악한 것이다. 사실상 기존 문화질서를 옹호하고 유지하기 위해서 경학중심으로 공부해야 한다고 서예 공부 방향성을 제시한 것이다. 결국 조일은 정치상 교화의 도움이 되는 측면에서 서예술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인격수양을 목적으로 예술을 윤리화했던 유가미학의 전형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adaebu that was appearanced China's East Han Dynasty made a thing of morality of the leader. However they are threatened their life and death the gory eunuch and ballot-rigging are a frequent happen. Nevertheless the Sadeabu sustainedly pursued an ethical man. Their pursuit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Cheong-eui system be used checking public opinion toward a place of art discussion. There was an argument payed attention the sociocultural effectiveness of art, the revival and artistry of cursive characters.
For example, Cheoi-won appraised the cursive characters is a part of the handwriting history but Cho-il devaluate it was just a means for correspondence. He recognized the cursive characters harmed the principle of character by avoiding overlapping. Cheoi-won argued the appearance of the cursive characters accord with purpose making character. In contrast, Cho-il argued Chang-il was ignored the principle of character. It was for making the point that learning the cursive characters is not work for saint. He criticized the value of the cursive characters for bring up a problem about attitude, posture of calligrapher and contents in characters rather than value of an aesthetic value.
Even though Cho-il didn’t focus on the artistic value of characters, basically he attended purpose of existence of characters. Because he understood purpose of study is protecting virtue and contribution as the Sadeabu by scriptures of Confucianism. Finally Cho-il emphasized on artistry of calligraphy in the way that political reformation. It is appraised that afford model of Confucianism esthetic for cultivation of the mind.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東漢時代 士大夫들의 출현과 淸議의 특징과 의미
Ⅲ. 草書 인식을 통해 본 士大夫들의 學文에 대한 인식태도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