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iveness of Code-switching and Identity Reconstruction
이용수 23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Kyung-Ae Oh Young Mi Kim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영어어문교육 제18권 제4호, 115~14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utcomes of one teacher’s code-switching between Korean and English in a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university class. Seventy-four female freshmen participated in class observations, a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1) instances of code-switching, 2) students’ perceptions,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code-switching and students’ identity reconstruction. The seven categories of code-switching were: 1) to build rapport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2) to assist group discussions, 3) as a repair strategy, 4) to teach bilingual terminology, 5) to disapprove students’ behavior, 6) to announce important notices, and 7) to clarify the meaning of vocabulary.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concerning code-switching, in particular, content knowledge delivery and classroom management. More importantly, the teacher’s code-switching influenced the students’ self-identity. This finding implies that code-switching is an effective educational strategy that teachers need to apply based not only on the type of course and th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s, but also on the students’ cultural and social context where they construct their ident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연어 중심 영어 어휘지도가 초등학생의 어휘력 및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A Constraint-based Analysis of Dissimilation in English
- 한국인 협력교사의 인식을 통해서 본 영어원어민보조교사 정책방향 연구
- The Effectiveness of Code-switching and Identity Reconstruction
- Investigating the Nature of Corpus-based Variables and their Contributions to Item Difficulty
- Readers Theater 활동이 중학생의 영어 읽기와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Suggestions for an Effective College English Camp
- 영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연구
- 영어 시제 학습에서 형태초점 교수법의 효과
- 그래픽 조직자의 활용이 중학생의 영어 듣기 이해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 개선 방안 연구
- Coexistence or Competition: A Look at Private Tutoring in English in Relation to Formal Instruction in English in Korean Schools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motivational Factors and English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 An Experimental Study on Flapping in English Teaching
- 영미권 영화에서의 오역
- Phone-based Interaction and Development of L2 Oral Fluency
- A Study of Syntactic Complexity in Children’s Storybooks with a Call for More Attention to Clausal Subordin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