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사회 진입에 따른 경찰의 지역맞춤형 치안서비스
이용수 176
- 영문명
- Integration Wireless Network Construction Plan for Crisis-Intervention Capacity Strengthening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조호대(趙晧旲 )(Ho Dae Jo)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5호, 213~22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부터 ‘다문화사회’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 사회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문화사회가 도래하면서 기존의 문화와 갈등이 발생하기도하고, 이로 인한 문제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의 경우 외국인 범죄와 관련하여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와 관련하여 외국인 거주 지역에 대한 범죄예방활동을 중점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각 언어권에 해당하는 외사요원을 채용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가구와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한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경찰청별, 지방경찰청별, 경찰서별로 보편적인 치안활동을 전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경찰의 지역맞춤형 치안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지역맞춤형 치안서비스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 인력의 재조정이다. 즉, 실제 인구수를 고려하여 경찰 인력을 배치시키고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둘째, 다문화 가구 밀집 지역을 관리함에 있어서 거주자 중심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직범죄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범죄 전담 부서의 편성이다. 넷째, 다문화 구성원들과 원활하게 소통하고 이를 통한 신속·적절한 대응을 위해 다문화 관련 핫라인 서비스가 구비 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문화 사회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현상들을 이제는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현상이라는 폭넓은 관점으로 바라보며, 그 특성을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Modern society is danger society which structural danger and indwelled danger increase being advanced. Society is changed informationization, network developing and society structural danger is increasing as a result. It is serious that peoples who face in emergency depart in the circumstance, or such emergency is settled fast. This study examined American system that is examining Korea's system construction present condition to present integration Wireless network construction plan that is essential in crisis-intervention and operate advancement system in related field. In the case of Korea, various disaster management system was constructe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adies national communication system separately with system constructing at institution, and program such as ordinary times Operated GETS was operated for emergency. Therefore, capacity strengthening plan that respond emergency is as following. First, integrated operation institution has to be created so relevant organization's business repetition or confusion of command system is not caused. Second, public relation of system connected with disaster should be emphasized. Third, capacity strengthening must take advantage of a Mobile technology a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외국인 범죄 및 다문화 경찰활동 현황
Ⅳ. 지역맞춤형 치안서비스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합환경지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우도비를 이용한 산지재해 발생 위험인자 분석
- 우면산지역의 사면안정성 평가
-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적의 정착길이 산정을 위한 인발시험에 대한 수치해석
- 다문화사회 진입에 따른 경찰의 지역맞춤형 치안서비스
- 국내 장애인 인권관련 연구동향 분석과 제언
-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통합무선연결망 구축방안
- 국가위기관리체계에 대한 메타거버넌스적 고찰
- 간호학과 편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 체험
-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 서비스의 효과성 증진방안
- 공경호원의 경호기법의 선택유형
-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한국의 국가 위기관리 감사체계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