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학과 편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 체험
이용수 424
- 영문명
- Transfer-students' Lived Experience of the First Semester in the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Crisis Overcome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건희(金建希)(Kon Hee Kim) 황은희(黃銀姬)(Eun Hee H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5호, 123~1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력주의에 따른 대학 간 이동 증가와 간호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간호학과 편입학 정원 확대로 편입생이 급증하는 가운데, 새로운 교육과정의 중간에 놓이게 되는 편입생의 대학생활상 위기 또한 이슈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편입 첫 학기 대학생활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과정 개발에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편입생의 위기 극복, 대학생활 적응 및 올바른 학업 성취에 기여하고자 한다. 2011년 4월부터 6월까지 B시의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편입생 10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하였으며,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편입 첫 학기 대학생활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학과 편입생들은 첫 학기에 ‘방향을 전환함’, ‘새로운 체제로의 적응’, ‘편입생이라는 꼬리표를 담’, ‘혼돈 그 자체: 당황과 걱정’, ‘학교에 매임’, ‘내가 감당해야 함’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유의미한 현상이나 개념을 중심으로 교수진의 효과적인 지도, 맞춤형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의 개발을 통해 편입생이 편입 첫학기에 겪는 위기에 대처함으로써, 중도 탈락하지 않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하여 단기간 교육을 통한 양질의 인력 양성으로 간호인력 부족 해소에 기여해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describe what transfer-students experienced in their first semester of the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ten juniors who enrolled in nursing school as transfer students. They were asked to record and describe whatever they wanted to tell the researcher about transferring into the nursing program. Their records included their feelings, thoughts, and so 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to June, 2011 and was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In this study, six essential themes were extracted: ‘Re-engineering my life’, ‘adaptation to a new system’, ‘branded as transfer students’, ‘current chaos: mixing fluster and concern’, ‘tied to school’, and ‘answering for my decision’. Recently, the number of transfer students in nursing schools increased rapidly as nursing schools were expanding in size in response for the shortage of nurses at government level. However, issues related to the adaptations of transfer students were not discussed so far. On the basis of this result, we can understand the transferring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and provide systematic and emotional support for them. Additionally, we can develop curriculum appropriate for them which in turn might lead to high-quality educated nur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영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합환경지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우도비를 이용한 산지재해 발생 위험인자 분석
- 우면산지역의 사면안정성 평가
-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적의 정착길이 산정을 위한 인발시험에 대한 수치해석
- 다문화사회 진입에 따른 경찰의 지역맞춤형 치안서비스
- 국내 장애인 인권관련 연구동향 분석과 제언
-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통합무선연결망 구축방안
- 국가위기관리체계에 대한 메타거버넌스적 고찰
- 간호학과 편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 체험
-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 서비스의 효과성 증진방안
- 공경호원의 경호기법의 선택유형
-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한국의 국가 위기관리 감사체계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