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합환경지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용수  186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n the Composite Environmental Index - A Test of 2012 EPI Model -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차용진(車溶振)(Yong Jin Cha)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5호, 101~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0.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1월에 발표된 환경성과지수(EPI)에 초점을 맞춰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2012 EPI의 구성개념 타당도 분석결과에서 2012 EPI의 구성개념인 환경보건, 대기보건, 물보건, 대기오염, 수질/수량, 생물다양성, 농업, 삼림, 어업, 기후변화는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 등의 구성개념 타당성, 기준타당성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신뢰도 분석결과에서 대기보건, 생물다양성, 농업, 삼림, 어업의 신뢰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어 내적일관성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012 EPI 모형검증을 위한 고차요인분석결과에서 2012 EPI 모형적합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고 측정모형의 평가에서 영유아사망률, 실내공기오염, 미세먼지, 식수접근성, 물위생, 일인당 SO2, GDP당 SO2, 수량변화, 생물군보호, 해양보호, 주요서식처보호, 농업보조금, 농약규제, 임목축적변화, 삼림지역, 산림손실, 어업강도, 초과어획량, 일인당 CO2 배출량, KWH당 CO2 배출량, GDP당 CO2 배출량, 재생에너지 등의 측정오차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어 2012 EPI 모형과 자료가 잘 부합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본 연구는 보다 개선된 EPI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을 검토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2012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EPI)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PI.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 that the constructs of environmental health, air (effects on human health), water (effects on human health), air (ecosystem effects), water resources (ecosystem effects), biodiversity & habitat, agriculture, forests, fisheries, climate change & energy have low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internal consistencies of air (effects on human health), biodiversity & habitat, agriculture, forests, fisheries are also very low. Furthermore, the higher order factor analyses indicate that the fit indices of the EPI model are low. In the measurement model, child mortality, particulate matter, indoor air pollution, access to sanitation, access to drinking water, SO2 per Capita, SO2 per GDP, change in water quantity, critical habitat protection, biome protection, marine protected areas, agricultural subsidies, pesticide regulation, forest growing stock, change in forest cover, forest loss, coastal shelf fishing pressure, fish stocks overexploited, CO2 per Capita, CO2 per GDP, CO2 per KWH, renewable electricity have high measurement errors. The results suggest a bad fit to the dat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some considerations to improve the EPI.

목차

Ⅰ. 연구목적
Ⅱ. 환경성과 평가지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용진(車溶振)(Yong Jin Cha). (2012).종합환경지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8 (5), 101-122

MLA

차용진(車溶振)(Yong Jin Cha). "종합환경지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8.5(2012): 101-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