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 서비스의 효과성 증진방안

이용수  280

영문명
Improvement Directions for Effectiveness of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for the Children with ADHD - Focused on Policy Implications of Effectiveness of Social Service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이창길(李昌吉)(Chang Kil Lee) 남승연(南丞姸)(Seung Yeon Nam) 이영범(李榮範)(Yeong Beom Lee)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5호, 165~18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0.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수요의 급증과 이에 대한 정부 재정의 한계라는 현실 상황을 인식하고, 보다 안정적인 사회서비스 확대의 중요함을 제기하는 탐색적인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사회서비스인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서비스를 중심으로 정책과정에서 정책효과와 연관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중점적 정책방향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를 통하여 향후 서비스 확대에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서비스 부가시장의 활성화와 각 사회서비스 별로 연계산업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형식적인 인력 등의 자원확충 보다는 질적 내실을 기한 서비스 제공인력 양 성과 서비스 성과의 명확한 피드백이 중요하다. 셋째, 서비스 제공인력에 따라 공급자 위주로 서비스가 결정이 아닌 대상자의 욕구에 따라 서비스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서비스의 효과성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서비스의 확대와 안정 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한 전문적인 컨설팅 기관을 설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earching study is to realize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surge in demand on social service and government financial limitation and to pose the importance of expanding more stable social service. This paper attempted to suggest the focused policy analyzi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nvolving the policy impacts on policy process focused on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for the children with ADHD as a representative social service. In addi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olicy implication on expansion of service in the future through an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for the children with ADHD.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vitalization of added market in social service and affiliated industry by social service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training of service providers for qualitative internal stability and the definite feedback of service performance-based, not for expansion of resources like perfunctory labor force, are important. Third, The service sh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recipients' desire not focused on providers depending on service providers. Fourth,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tools to grasp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ervice. Lastly, for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 and provision of stable servic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consulting institutions as a service providing organ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서비스의 개념 및 내용
Ⅲ. 실증분석
Ⅳ. 사회서비스 정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정책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길(李昌吉)(Chang Kil Lee),남승연(南丞姸)(Seung Yeon Nam),이영범(李榮範)(Yeong Beom Lee). (2012).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 서비스의 효과성 증진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8 (5), 165-184

MLA

이창길(李昌吉)(Chang Kil Lee),남승연(南丞姸)(Seung Yeon Nam),이영범(李榮範)(Yeong Beom Lee).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 서비스의 효과성 증진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8.5(2012): 165-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