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이용수 401
- 영문명
- Analysis on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Status of Local Governments and Improvement - Approach Focusing on Cities, Provinces and Boroughs -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권건주(權建周)(Gun Ju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5호, 15~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를 연구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법상 기초지방자치단체인 시·군·구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를 법률적 측면, 조직적 측면, 인력적 측면, 재정적 측면으로 나누어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선방안으로 법률적 측면은 첫째, 재난관련 법률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중심으로 일원화하여야 한다. 둘째,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타법 간의 상호연계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통합형 지역 재난관리 기본 조례를 제정하여야 한다. 조직적 측면은 첫째, 재난전담조직(재난안전관리과)을 실질적 컨트롤 타워(Control Tower) 역할을 하는 조직으로 기능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재난정보 공유기능이 강화된 재난상황실을 구축하여야 한다. 인력적 측면은 첫째, 재난상황실분야, 현장기동처리분야, 안전점검분야 등에 인력을 충원하여야 한다. 둘째, 재난관리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강화하여야 한다. 재정적 측면은 첫째, 사전 예방위주의 예산편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재난복구 예산의 일정액 이상은 경상비로 편성하여야 한다. 셋째, 풍수해보험을 확대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elected the cities, provinces and boroughs, which are the basic units of local government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Government Act, for investigat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This methodology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on the aspects of laws, organizations, human resources and finance.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laws related to disasters have to be unified around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Secon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Framework Act of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and other laws shall be strengthen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ntegrated basic ordinances on local disaster management. On the organizational aspects, the disaster task force team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Division) shall strengthen its functions as the actual control tower. Next, the disaster control center shall strengthen the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sharing function shall be implemented. For the human resources, the labor shall be supplemented for disaster control centers, field management and safety check. Seco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shall be intensified to cultivate professional workers for disaster management. For the financial aspects, the budget preparation shall focus on the prevention of disasters. Subsequently, a certain amount from the disaster recovery budget shall be established as the operating cost. Finally,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insurance programs on damage by wind and flood.
목차
Ⅰ. 서론
Ⅱ. 지방정부 재난관리에 관한 이론적 검토
Ⅲ.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의 실태분석
Ⅳ.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합환경지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우도비를 이용한 산지재해 발생 위험인자 분석
- 우면산지역의 사면안정성 평가
-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적의 정착길이 산정을 위한 인발시험에 대한 수치해석
- 다문화사회 진입에 따른 경찰의 지역맞춤형 치안서비스
- 국내 장애인 인권관련 연구동향 분석과 제언
-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통합무선연결망 구축방안
- 국가위기관리체계에 대한 메타거버넌스적 고찰
- 간호학과 편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 체험
-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 서비스의 효과성 증진방안
- 공경호원의 경호기법의 선택유형
-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한국의 국가 위기관리 감사체계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