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86
- 영문명
- 119 Location Study on Improvement of Information System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윤성근(尹聖根)(Seong Kun Yoon) 채진(蔡鎭)(Jin Cha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5호, 83~1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19위치추적시스템 제도를 시작한지 8년이 지났지만 효율적 활용, 관련 법제도 현황, 특히 긴급구조사항에서의 활용 방안 등을 자세하게 조사ㆍ분석하고 연구하여야 함에도 119위치추적 업무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치정보 관련 법ㆍ제도의 정비를 위한 기초정보 및 긴급구조 부문으로 활용되고 있는 위치정보 업무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경기도 소방관서 위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소방서의 119위치정보 운영실태와 경찰, 민간의 비교 분석하고, 119위치정보 운영실태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긴급구조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법률』의 긴급구조활용부분의 의미의 구체화 및 긴급구조의 범위의 확대해야 한다. 둘째, 긴급구조용 개인위치정보는 기존의 수색범위 보다 축소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119위치추적 업무의 접수 및 상담, 수색 등을 전문으로 하는 전담팀을 구성하여 폭증하는 119위치추적 요청에 적극 대응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119 Real-Time Locating Service has provided only for rescue in an emergency for about 8 years. However, the evaluation of that service doesn't come up to an increase in the demand. although it needs to improve regulations and methods for effective operating, there hasn't been so much effort to do.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search into ways of improving and then suggest the alternative solutions on the point at issues. First, it is necessary to specify practical use of Location Information in an emergency by privacy policy & law, and to expand range of the application of an emergency. Second, it is also necessary to encourage mobile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to improve mobile positioning technology which inform rescue team of more detailed areal positioning. Third, it can be useful to organize a special squad for the task such as call receipt & consultation, search & rescu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ncerned with the provis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ield of the fire services although it became a crucial issue in company with tremendous development of mobile information technology.
목차
Ⅰ. 서론
Ⅱ.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이론적 배경
Ⅲ. 119위치정보 운영실태 분석
Ⅳ. 119위치정보 시스템 운영의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합환경지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우도비를 이용한 산지재해 발생 위험인자 분석
- 우면산지역의 사면안정성 평가
-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적의 정착길이 산정을 위한 인발시험에 대한 수치해석
- 다문화사회 진입에 따른 경찰의 지역맞춤형 치안서비스
- 국내 장애인 인권관련 연구동향 분석과 제언
-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통합무선연결망 구축방안
- 국가위기관리체계에 대한 메타거버넌스적 고찰
- 간호학과 편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 체험
-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 서비스의 효과성 증진방안
- 공경호원의 경호기법의 선택유형
-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한국의 국가 위기관리 감사체계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