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국가 위기관리 감사체계의 발전방향
이용수 210
- 영문명
- Improvements for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Auditing System in Kore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이주호(李冑 浩)(Ju Ho Lee) 안철현(安喆鉉)(Cheol Hyun Ahn) 이재권(李在權)(Jae Kwon Lee) 심형섭(沈亨燮)(Hyoung Seop Sh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8권 제5호, 33~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 위기관리 분야 감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정부의 국가 위기관리 분야 감사체계를 정립하여 국가 위기관리를 위한 감사체계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주요국의 국가 위기관리 분야 감사 실태를 분석하여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래 위기환경이 불확실성을 더해가고, 정부의 국가 위기관리 책무가 증대되어 가는 시점에서 이러한 국가 위기관리 감사의 역할은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국가 위기관리 분야의 감사체계 발전을 위해서는 감사원이 보다 적극적인 국정의 ‘나침반 및 나팔수’, ‘조언자 및 컨설턴트’ 로서의 역할을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국가 위기관리 분야에 있어서 감사 활동은 국가 위기관리 분야의 나침반•나팔수 기능을 담당하는 방향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감사를 통한 국가 위기관리 마인드 및 문화의 고취와 역량의 증진, 공공부문 감사 영역에서의 위기관리 감사 활성화와 협업체계 구축, 정부부처 • 지자체 • 공공기관 등의 위기관리 분야 감사역량 배양•증진을 위한 전략적 대안 수립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현행 국가 위기관리 분야의 감사체계 발전을 위해서는 사안 중심이나 사업에 대한 일회적 문제점을 지적하기 보다는 국가 위기관리 정책의 발전을 모색할 수 있도록 추진 사업의 지속적인 감사활동과 감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udit system for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audit in major foreign countries the field of crisis management and draw implications for Korea. Because of uncertainty of a future crisis environment, the role of the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audit is predicted to be increased. Especially,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auditing system is required performance-oriented scheme. Key word: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uditing system, auditing filed.
목차
Ⅰ. 서론
Ⅱ. 감사영역으로서 국가 위기관리의 의의와 영역
Ⅲ. 해외 주요 감사기관의 국가 위기관리 감사실태
Ⅳ. 국가 위기관리 감사체계의 발전방향
Ⅴ. 결론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종합환경지수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우도비를 이용한 산지재해 발생 위험인자 분석
- 우면산지역의 사면안정성 평가
- 119위치정보 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적의 정착길이 산정을 위한 인발시험에 대한 수치해석
- 다문화사회 진입에 따른 경찰의 지역맞춤형 치안서비스
- 국내 장애인 인권관련 연구동향 분석과 제언
- 위기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통합무선연결망 구축방안
- 국가위기관리체계에 대한 메타거버넌스적 고찰
- 간호학과 편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 체험
-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 서비스의 효과성 증진방안
- 공경호원의 경호기법의 선택유형
-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체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 한국의 국가 위기관리 감사체계의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