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Drone Threat Landscape and Counter-Drone System Development Strategies in Southeast Asia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김태영(Tae-Young Kim) 정영일(Young-Il Ch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2號, 53~7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남아시아 지역은 테러, 범죄, 군사적 공격 등 등 포괄적 국가 안보 측면에서 드론의 위협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주요 국가들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미얀마, 캄보디아 등은 국경 및 해양 분쟁, 마약밀수 등 강력범죄, 테러, 산업 스파이 활동 등에서 대론이 위협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남아시아의 드론 위협 양상과 대드론 대응전략을 심층깊게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드론테러 발생 위험도 평가모델을 적용한 설문결과를 통해 국가별 4가지 유형의 특화된 대드론시스템 모델을 도출하였다. 싱가포르 중심의 공항 불법드론 대드론시스템, 인도네시아·필리핀·베트남 중심의 국경 및 해양 보안 대드론시스템, 말레이시아·태국 중심의 교도소 마약 밀매 대드론시스템, 미얀마·캄보디아 중심의 정부청사 및 군사시설 보호 대드론시스템 모델이 그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 테러리즘·범죄학·경찰학 측면에서 대드론 역량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outheast Asian region is actively utilizing drones in terms of comprehensive national security, including maritime security, terrorism, and crime, but is also facing various drone threats. In particular, major countries such as Singapore, Indonesia, Malaysia, the Philippines, Thailand, Vietnam, Myanmar, and Cambodia are increasingly using drones as a means of threat in border disputes, organized crime, terrorism, and industrial espionage. This study analyzed the drone threat landscape in Southeast Asia from various angles and reviewed each country’s response strategies. In particular, by applying a recently studied drone terrorism risk assessment model and conducting a survey of 30 domestic counter-drone system experts, four new types of counter-drone system application models suitable for the situations of major Southeast Asian countries were proposed. These are the airport illegal drone counter-drone system (Singapore), border and maritime security counter-drone system (Indonesia, Philippines, Vietnam), prison-centered drug trafficking counter-drone system (Malaysia, Thailand), and government building and military facility protection counter-drone system (Myanmar, Cambodia). Through this, we aim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domestic crisis management capabilities by suggesting development plans for building a counter-dron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drone security threats such as illegal drones, drug trafficking, crime, and protection of government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e science responsible for public security.
목차
Ⅰ. 서 론
Ⅱ.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드론위협 양상과 한국의 시사점
Ⅲ. 동남아시아 대드론시스템 발전방안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의 실효적 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경찰의 단계별 대응을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 피해 경험이 비행 가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_사회적 차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민간경비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의 이중매개효과 연구
- 요인테러 위해수단에 대한 가중원리 및 선택 핵심요소 모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