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Personality Traits an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Workplace Incivility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권혜림(Hye-Rim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第24券 第2號,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조직에서 존중과 배려는 조직 성과와 개인의 심리적 복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경찰과 같은 준군사적 조직에서는 무례한 행동은 직무스트레스, 이직 의도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경찰관이 조직 내 무례한 행동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개인 요인(성격 특성)과 조직 요인(조직공정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찰관의 성별, 혼인상태, 계급, 근무기관, 재직기간, 연령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무례함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격 특성에 따라 무례함 인식이 달라졌으며, 외향성은 동료 및 부하의 무례함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개방성은 상사와 동료ㆍ부하의 무례함 모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친화성은 무례함의 원천에 따라 상반된 영향을 미쳤다.
조직공정성 인식 또한 무례함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절차공정성은 경찰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부적 영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경찰조직 내 무례함 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개인 성격 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을 복합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직 내 상호작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무례함을 완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spect and consideration are essential in modern organizations, as they significantly impact bo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well-being. In paramilitary organizations such as the police, incivility within the organization can lead to negative outcomes, including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officers.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workplace incivility, distinguishing between individual factors (personality traits) and organizational factors (organizational justice). Furthermore, the study categorizes the forms of incivility into supervisor incivility and incivility from colleagues and subordinates.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incivility based o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rank, department, years of service, and age. Additionally, personality traits were found to influence perceptions of incivility. Extravers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incivility from supervisors bu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incivility from colleagues and subordinates. Openn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incivility from both supervisors and peers/subordinates. Conscientiousness showed contrasting effects depending on the source of incivility: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incivility from supervisors but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civility perceived from colleagues and subordinat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erceptions of incivility. Procedural justi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incivility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whereas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i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xamining both personality traits an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to understand incivility within police organizations. The study aims to offer practical strategies to mitigate incivility that may arise in organizational intera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 교제폭력 피해자 보호의 실효적 방안에 대한 질적연구 - 경찰의 단계별 대응을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 피해 경험이 비행 가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_사회적 차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민간경비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의 이중매개효과 연구
- 요인테러 위해수단에 대한 가중원리 및 선택 핵심요소 모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관의 성격특성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 내 무례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 예방(CPTED)의 범죄예방 효과성에 대한 소고(小考)
- 동남아시아 드론위협 양상에 따른 대드론체계 발전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