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東漢 시대 書 藝術의 자각에 대한 고찰
이용수 51
- 영문명
- The awake of “east-han( 東漢)” calligraphy art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송명신(Song Myung-Shin)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6호, 187~2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예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국 문자의 서사는 오랜 변천 과정을 거친 후 동한 말에 이르러 특별한 전환을 하게 하게 된다. 이는 서사에 대한 지식인들의 심미적 추구가 일정한 단계에 이르러 나타난 당연한 결과로서 이 전환은 다음 네 방향에서 살펴볼 수 있다. 1. 전․예․초․행․해의 五體가 모두 출현하여 서사 형식면에서의 조건이 완비되었다. 2. 과거의 서사는 실용 서사와 심미적 서사에 대한 의식이 구분되지 않았으나, 동한에 이르러 이 둘 사이에 분화 현상이 나타나 실용 서사 계통과 심미 서사 계통이 각자 자기의 길을 가기 시작했다. 3. 이 시대에 진정한 의미에서의 서예가가 처음 출현한다. 이는 서 예술의 자각을 알리는 중요한 표지이다. 4. 이 시대에 진정한 의미에서의 서예 이론이 처음 나타난다. 이런 의미에서 동한 말은 서 예술이 각성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예술의 각성과 연관된 몇 가지 현상, 곧 창작의 성행, 수준 높은 창작 능력과 성취를 이룬 작가의 출현 및 창작에 대한 이론적 개괄이 동한 말에 이미 기본적으로 갖추어졌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View from the calligraphy history, after a long evolvement of Chinese characters, a certain developing opportunity of Art grew up at the end of“east-han(東漢)” dynasty(25-220 A.D)Undoubtedly, it is theinevitable result, which was naturally formed, but not created for the particular demand by people. We can research such changes from four aspects blow. 1. The emergence of fonts such as Jen(篆)․Ye(隸)․ Cho(草)․ Hyang(行)․ Hya(楷) had prepared the modal aspect of Chinese calligraphy art. 2. The confusing of practical way of writing and artistic writing in former periods has been meliorated. Some differentiation between them occurs in the
late East Han dynasty. As the artistic subject evolved, the practical subject evolved too, but in different directions. 3. In this period, the real calligraphy artist came out. 4. In this period, the real calligraphy theory emerged. To conclude in these means, we can say “east-han” is the “awake time” of calligraphy art. Normally, the “awake of art” must have three characteristics: the prosperous produce; the successful and capable artists; the summarization and elucidation of producing theory. In the domain of calligraphy, all the conditions are holded.
목차
Ⅰ. 緖論
Ⅱ. 五體의 완비
Ⅲ. 大家 蔡邕의 출현과 書寫의 예술화 경향
Ⅳ. 전문 서론의 출현
Ⅴ. 지식 계층의 형성과 종이의 발명
Ⅵ. 結論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