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향적 영향력전술과 팀 성과와의 관계에서 팀리더의 감성지수의 조절효과
이용수 283
- 영문명
- The Role of Team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Influence Tactics and Team Effectiveness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박동수(Dong Soo, Park) 김수희(Su 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351~37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업은 급변하는 경영환경 적응과 성과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조직구조에 있어 서 긴밀한 상호작용, 분권화된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한 팀 제도의 도입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업 환경 안에서 부하가 상사에게 미치는 영향력 즉, 상향적영향력 전술이 팀 수준에서의 성과와 어떠한 관계에 있으며 또 이들 관게에서 팀 리더의 감성지수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였다.일반적으로 많은 리더십연구들에서 하향적 영향력행사 관점을 중시하였으나, 실제 조직과정에서는 부하의 관점에서 상향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과 그 성과와의 관계 안에서의 상사의 감성지수의 역할을 재확인하였다. 즉 팀 구성원과 팀 리더의 쌍방향적 상호작용관점을 고려하여 팀유효성에 미치는 팀리더의 감성지능의 조절효과를 밝혀내고자 하였다.종속변수인 팀 유효성 중 재무적 성과를 잘 반영할 수 있는 표본대상인 국내․외 생명, 보험회사영업부서를 설정하여 162개 팀(팀 리더 162명, 팀 구성원 77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연구결과, 팀 구성원이 팀 리더에게 어떠한 보상을 조건으로 과업을 수행하는 상향덕 교환전술을펼칠수록 팀 수준에서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향상되는 관계를 보였다. 또 단언전술 즉, 원하는것을 얻기 위해 일방적으로 요구, 제시하는 전술을 사용하는 팀 구성원이 많을수록 조직몰입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자신의 요구가 실천할 가치가 있고, 효율적임을 논리적으로 제시하는 상향적 영향전술인 이성전술에는 높은 조직몰입을 나타내 보였다. 그러나 팀 리더보다 더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는 상위계층을 찾아가 원하는 바를 요구하는 상부호소의 전술은 팀 수준에서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감소시키는 반면, 직무성과는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는 본 연구의 표본인 영업조직의 특성을 잘 반영한 하나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직무성과는 통념적 관게를 보이지 않았고, 재무적 성과 즉, 영업실적 을 올리기 위해 팀 구성원들은 다른 상향적 영향전술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 팀 리더의 감성지수는 팀 수준에서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는 정(+)의 영향을 보였으나, 직무성과에는 아무런 유의적인 관계를 가지지 못하였다. 팀 리더의 감성지수는 팀의 응집력을 저하시키는 팀 구성원들의 상부호소 전술과 팀 유효성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효율적 팀을 운영하고자 하는 팀 리더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 upward influence tactics and team effectiveness.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by team leader on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 survey data from a convenient sample of 162 teams (162 team leaders, 773 team members) of sales department from 16 life and non-life insurance companies around Daegu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questionnaire involves construct variables measuring the upward influence tactics which subordinates exercise upon superiors in the organizational politics. It also includes objective financial achievement for the job performance of individual team member as a dependent variable as measured by the team leader in a numerical amount of money such as ‘the average salary of recent 3 months of team members’. This very use of objective data measured by the team leader makes this study distinct from other studies of its kind. The result of study implies that we should understand an organizational reality that team members go and see to influence superiors who hold more power than their
immediate superior in order to build up their job performance, or sales results. Also, it suggests that team leaders' EQ(emotional quotient) displays a moderating effect to dampen the relation between upward appeal tactics and job performance. Far from existing studies, the higher EQ of team leaders is, the stronger it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never on job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an organizational reality of upward influence tactics could be made mutually complementary between team constituents and team leader for team effectiveness, especially in sales tea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가설 검증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제위기에 대한 기업들의 인사노무 대응 전략
- 근로시간 단축이 중소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
- 작업집단내 정서수렴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상향적 영향력전술과 팀 성과와의 관계에서 팀리더의 감성지수의 조절효과
- 퇴직연금 노동자별 최적화 조건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in-group and out-group tie strengths on employees’ perception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 사회적 기업
- 조직 동일시와 OCB 의 관계에 있어서 정서적 몰입과 OBSE 의 매개 효과
- 상사의 솔선수범행동과 조직유효성
- 자기-타인 평가의 문화적 편포의 기제
- 군자적 리더십의 집단 유효성과 집단 응집성에 대한 영향
- 문화적 차이가 국제인수합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
- 네트워크 자산의 이전
- 리더의 자기개방 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 An Empirical Study of Situational LeadershipⓇ in Korean Hospitals
- 중소기업의 경쟁전략과 핵심인재관리 및 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 팀 내 다양성,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기업시민행동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학행정직원의 일-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 대학직원들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실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근무실적 평가에서 초과근무의 후광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기업간 관련성과 인수 후 통합수준의 상호작용이 국제 M&A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 다양성과 팀 공유멘탈모형의 상호작용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용보험의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지원사업이 기업의 훈련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
- 멘토역량과 멘토링 기능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 채용자(Recruiters)는 중요한가? 새로운 방법론을 통한 접근
- 팀 몰입과 조직 몰입, 과연 두 마리 토끼인가?
- 조직몰입과 협력적 성과의 관계
- 직장 내 여가(leisure) 경험이 구성원 정서(emotion)와 직무태도,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동조합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이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조직몰입 간에 미치는 조절효과
- 리더-부하간 교환관계의 질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동료간 교환관계의 조절역할
- 슈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LMX 질을 매개로 비영리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 공정성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 연구
- 은닉과 공표
- 모티베이션 연구지평의 확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