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직원들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실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523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Universitie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서인덕 이승환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663~68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식기반 경제사회로의 변화는 국가와 기업으로 하여금 지식기반 경제사회의 활동원천인 인적자원을 양성하는 대학에 대한 많은 기대와 요구를 갖게 하였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및 대학 통폐합, 그리고 입학정원수의 감소 등 대학이 처한 국내외 환경의 변화로 인해 우리 대학은 교육성과뿐만 아니라 경쟁력도 많이 상실한 상태이다. 이에 대학은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와 성과향상을 위해 기업의 경영관리기제 중 하나인 인적자원관리의 도입이 절실하며, 본 연구에서는 대학조직에서실시하고 있는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성과, 그리고 구성원들의 조직공정성 지각 간의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측정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 우선 인적자원관리 관행 중 채용관리와 경력관리, 그리고 보상관리 만이 조직성과, 즉 조직몰입과 대학경쟁력 지각 변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적자원관리 중 채용관리 및 경력관리, 그리고 보상관리만이 대학직원들이 조직성과 향상을 위해 필요한 관행이라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대학조직에서는이러한 인적자원관리 관행을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학직원들의
배공정성 지각은 경력관리 및 보상관리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그리고 채용관리 및 보상관리와 대학경쟁력 지각 간의 관계를 조절해주었으며, 절차공정성 지각은 경력관리 및 보상관리와 조직몰입간의 관계와 채용관리 및 경력관리와 대학경쟁력 지각 간의 관계를 조절해주었다. 이는 대학조직의 인적자원관리의 실행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대학직원들의 조직에 대한 공정성 지각이 이들 관계를 변화시켜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대학직원들의 공정성지각을 향상시켜줄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심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change of knowledge based economy would make countries and firms have more expectation and needs about universities cultivating human resources, the principle source of knowledge based economic society; however, due to global financial crisis, mergers and acquisition among universities, and decrease of the entrance quota, most universities forfeited their competitiveness as well as decreased their performance.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HRM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universities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competi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HRM, organizational performance (e.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and organizational justice by utilizing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ly, three important sub-variables of HRM, employment management, career management, and reward management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distributive justice moderated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reward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rewardmanage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Finally,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justice moderated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reward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career manage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Above results indicate that if workers would not improve organizational justice, the HRM practice could not control organizational performanc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As well, Several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분석방법론
Ⅳ. 실증결과의 해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제위기에 대한 기업들의 인사노무 대응 전략
- 근로시간 단축이 중소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
- 작업집단내 정서수렴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상향적 영향력전술과 팀 성과와의 관계에서 팀리더의 감성지수의 조절효과
- 퇴직연금 노동자별 최적화 조건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in-group and out-group tie strengths on employees’ perception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 사회적 기업
- 조직 동일시와 OCB 의 관계에 있어서 정서적 몰입과 OBSE 의 매개 효과
- 상사의 솔선수범행동과 조직유효성
- 자기-타인 평가의 문화적 편포의 기제
- 군자적 리더십의 집단 유효성과 집단 응집성에 대한 영향
- 문화적 차이가 국제인수합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
- 네트워크 자산의 이전
- 리더의 자기개방 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 An Empirical Study of Situational LeadershipⓇ in Korean Hospitals
- 중소기업의 경쟁전략과 핵심인재관리 및 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 팀 내 다양성,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기업시민행동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학행정직원의 일-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 대학직원들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실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근무실적 평가에서 초과근무의 후광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기업간 관련성과 인수 후 통합수준의 상호작용이 국제 M&A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 다양성과 팀 공유멘탈모형의 상호작용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용보험의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지원사업이 기업의 훈련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
- 멘토역량과 멘토링 기능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 채용자(Recruiters)는 중요한가? 새로운 방법론을 통한 접근
- 팀 몰입과 조직 몰입, 과연 두 마리 토끼인가?
- 조직몰입과 협력적 성과의 관계
- 직장 내 여가(leisure) 경험이 구성원 정서(emotion)와 직무태도,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동조합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이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조직몰입 간에 미치는 조절효과
- 리더-부하간 교환관계의 질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동료간 교환관계의 조절역할
- 슈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LMX 질을 매개로 비영리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 공정성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 연구
- 은닉과 공표
- 모티베이션 연구지평의 확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