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 Empirical Study of Situational LeadershipⓇ in Korean Hospitals
이용수 8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Eung-Hoon Lee Byung Seop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53~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order to overcome fierce competi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from worldwide financial crisis and economy slowdown, managing people is one of the toughest challenges around. For organizations to achieve excellence
in today's world, the commitment to develop peopl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Situational LeadershipⓇ Program is the world's most influential leadership program and it is time now to examine suitability of the Situational LeadershipⓇ Program in Korea. This descriptive, comparative, exploratory and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perceptions of leadership style of head nurses as perceived by head nurses and RN staff using Situational Leadership Model. the study sample includes 29 head nurses and 231 RN staff from 25 general hospitals including 21 university hospitals throughout the country.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dership style range of head nurses as perceived by the head nurses compared to the leadership style range of head nurses as perceived by their nursing staf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adership style adaptability of head nurses as perceived by the head nurses and the leadership style adaptability of nurse mangers as perceived by their nursing staff member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style adaptability of head nurses as perceived by RN staff and job satisfaction level of RN staff. The more adaptable the leader the great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The overall findings led to the conclusion that a leader's level of adaptability can have significant impacts on job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very encouraging for use of the
Situational Leadership Model in Korea to improve performance through improving job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OLOGY
Ⅳ. DATA ANALYSIS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제위기에 대한 기업들의 인사노무 대응 전략
- 근로시간 단축이 중소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
- 작업집단내 정서수렴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직무자율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상향적 영향력전술과 팀 성과와의 관계에서 팀리더의 감성지수의 조절효과
- 퇴직연금 노동자별 최적화 조건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in-group and out-group tie strengths on employees’ perception of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
- 사회적 기업
- 조직 동일시와 OCB 의 관계에 있어서 정서적 몰입과 OBSE 의 매개 효과
- 상사의 솔선수범행동과 조직유효성
- 자기-타인 평가의 문화적 편포의 기제
- 군자적 리더십의 집단 유효성과 집단 응집성에 대한 영향
- 문화적 차이가 국제인수합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
- 네트워크 자산의 이전
- 리더의 자기개방 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 An Empirical Study of Situational LeadershipⓇ in Korean Hospitals
- 중소기업의 경쟁전략과 핵심인재관리 및 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 팀 내 다양성,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기업시민행동과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학행정직원의 일-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 대학직원들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실행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근무실적 평가에서 초과근무의 후광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기업간 관련성과 인수 후 통합수준의 상호작용이 국제 M&A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 다양성과 팀 공유멘탈모형의 상호작용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용보험의 사업주 직업능력개발 지원사업이 기업의 훈련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
- 멘토역량과 멘토링 기능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 채용자(Recruiters)는 중요한가? 새로운 방법론을 통한 접근
- 팀 몰입과 조직 몰입, 과연 두 마리 토끼인가?
- 조직몰입과 협력적 성과의 관계
- 직장 내 여가(leisure) 경험이 구성원 정서(emotion)와 직무태도,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노동조합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이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과 조직몰입 간에 미치는 조절효과
- 리더-부하간 교환관계의 질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동료간 교환관계의 조절역할
- 슈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LMX 질을 매개로 비영리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조직 공정성과 지식공유 간의 관계 연구
- 은닉과 공표
- 모티베이션 연구지평의 확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