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peech sensibility ergonomics and the fashion image according to the nail oper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최정선(Choi Jung-Sun) 오희선(Oh Hee-Su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3권 제3호, 91~9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effects of woman"s Nail operation on the speech sensibility and the fashion image. The subject for this sample survey was female students of Pukyong University who lives in Pusan, South Korea. In this study, 33 people who have ability to purchase Nail products and fashion apparels are used as samples.
Phonetic data were collected by sampling voice of 16 bit, 10 KHz after nail operation a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ordinary classroom of noise 34.3dBA. Regarding fashion image, data were collected by paper survey after 2 nail expert’s operations.
The data of these samples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of SPSS WIN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ly, before operation, the pitch of standard a-sound has 9.1 % deviation and after operation, increased 10.5%, 11.8%, 12.1% each for operation of wet manicure, sculpture, design sculpture.
2. On the survey, preference for ‘showy’, ‘clear’ and ‘womanly’ fashion image was high after wet manicure and design sculpture operation. After sculpture operation, the preference for those image was low comparatively. For the ‘active’ image, design sculpture was by far the highest.
Phonetic data were collected by sampling voice of 16 bit, 10 KHz after nail operation a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ordinary classroom of noise 34.3dBA. Regarding fashion image, data were collected by paper survey after 2 nail expert’s operations.
The data of these samples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of SPSS WIN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erally, before operation, the pitch of standard a-sound has 9.1 % deviation and after operation, increased 10.5%, 11.8%, 12.1% each for operation of wet manicure, sculpture, design sculpture.
2. On the survey, preference for ‘showy’, ‘clear’ and ‘womanly’ fashion image was high after wet manicure and design sculpture operation. After sculpture operation, the preference for those image was low comparatively. For the ‘active’ image, design sculpture was by far the highes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유르베다 마사지 연구
- 헤어에 대한 소비자 의식에 관한 연구
- 네일 시술에 따른 음성감성공학과 패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헤어 컬러링이 얼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한방 화장품 원료에 있어 추출물 내 타닌의 수렴효능에 관한 연구
- 피부 pH 및 알칼리 중화능에 관한 연구
- 아로마테라피를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법에 대한 고찰
- 2001년 컬렉션에 따른 네일 디자인 연구
- 미용사자격검정시험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 헤어 커트 학습을 중심으로
- Jacques Derrida의 해체와 인체에 표현된 해체 양식에 관한 조형 연구 - 2000~2002년까지 여성 컬렉션을 중심으로
- 미용업 종사자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실현 및 사회적 삶의 질
- 일부 미용사들의 직무특성과 관련한 이직요인별 분석
- 메이크업의 심리적 역할로써 심리유형, 추구이미지 및 메이크업 색조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분장에 있어 조명 효과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 메이크업이 미에 대한 자기 인식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선시대 여성의 머리 형태에 관한 연구
- 현대 패션의 토털 코디네이션 연구
- 헤어 커트 디자인의 조형성 연구 - 커트 라인을 중심으로
- 1960년대 히피 패션과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 열기구(아이론, 드라이어) 사용에 의한 모발의 손상 연구
- 현대 미용 예술에 나타난 확장된 미의 영역 - 1995~2001년까지의 캣워크에 등장한 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 중년 여성들의 모발 관리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헤어드레서 수부에 발생하는 피부염의 임상적 고찰 - 첩포 검사를 중심으로
- 패션 코디네이션 의식에 대한 소비자 요인 분석
- 영상 매체를 위한 효과적인 메이크업과 의상 연출법 - 텔레비전 방송 보도 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 전통 여성 장신구에 나타난 미적 가치 연구
- 탈모 예방을 위한 연구
- 학회소식 외
- 성장 호르몬이 피부 노화 방지에 미치는 효과
- 퍼머넌트 웨이브의 응용과 분석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포스트 코로나, 일상적 여가의 재발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