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kin pH and Alkali Neutr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정옥(Lee Jeong-ok) 김주덕(Kim Ju-Duc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3권 제3호, 63~7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0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e result of test, men are 5.70±0.17 and women are 5.88±0.04 on the average skin pH range. Difference in pH of women and men is 0.18. After contact on the skin(1-minute later) the lowest range of group(8.00±0.41 range) is 30 years men group among eight groups while the highest range of group (9.55±0.29 range) is the women group of which the age is 26-27 years in Alkali Neutralization test. Consequently the result is that Alkali Neutralization of men is better than women"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 및 실험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 및 실험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유르베다 마사지 연구
- 헤어에 대한 소비자 의식에 관한 연구
- 네일 시술에 따른 음성감성공학과 패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헤어 컬러링이 얼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한방 화장품 원료에 있어 추출물 내 타닌의 수렴효능에 관한 연구
- 피부 pH 및 알칼리 중화능에 관한 연구
- 아로마테라피를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법에 대한 고찰
- 2001년 컬렉션에 따른 네일 디자인 연구
- 미용사자격검정시험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 헤어 커트 학습을 중심으로
- Jacques Derrida의 해체와 인체에 표현된 해체 양식에 관한 조형 연구 - 2000~2002년까지 여성 컬렉션을 중심으로
- 미용업 종사자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실현 및 사회적 삶의 질
- 일부 미용사들의 직무특성과 관련한 이직요인별 분석
- 메이크업의 심리적 역할로써 심리유형, 추구이미지 및 메이크업 색조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분장에 있어 조명 효과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 메이크업이 미에 대한 자기 인식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선시대 여성의 머리 형태에 관한 연구
- 현대 패션의 토털 코디네이션 연구
- 헤어 커트 디자인의 조형성 연구 - 커트 라인을 중심으로
- 1960년대 히피 패션과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 열기구(아이론, 드라이어) 사용에 의한 모발의 손상 연구
- 현대 미용 예술에 나타난 확장된 미의 영역 - 1995~2001년까지의 캣워크에 등장한 헤어스타일을 중심으로
- 중년 여성들의 모발 관리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헤어드레서 수부에 발생하는 피부염의 임상적 고찰 - 첩포 검사를 중심으로
- 패션 코디네이션 의식에 대한 소비자 요인 분석
- 영상 매체를 위한 효과적인 메이크업과 의상 연출법 - 텔레비전 방송 보도 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 전통 여성 장신구에 나타난 미적 가치 연구
- 탈모 예방을 위한 연구
- 학회소식 외
- 성장 호르몬이 피부 노화 방지에 미치는 효과
- 퍼머넌트 웨이브의 응용과 분석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