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여성의 머리 형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4

영문명
A study on korean women"s hair style
발행기관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저자명
조미영(Cho Mi-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3권 제3호, 251~26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0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uman being have had a habit or custom to fix their hair beautifully with their intrinsic beauty consciousness. The hair has been regarded as a most important part of human body and also has a function not only to protect the body but ad a means in pursuit of human beauty.
  woman"s hair style shows the trends of EONJIN MEURI, JJOCJIN MEURI, although styles changed in shapes and size by time. unmarried man and woman have fixed their long hair to be locked with Dan gi.
  KOGAE was very popular in Yi dynasty and EONJIN MEURI with big wig was also popular until the proclamation of prohibition by king jeong jo.
  due to this goverment regulation, the women"s hair style, EONJIN MEURI with big wig was replaced by JJOCJIN MEURI.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조선시대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Ⅲ. 조선시대 이전의 머리 형태
Ⅳ. 조선시대 여성들의 머리 형태
Ⅴ. 결론
주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미영(Cho Mi-Young). (2002).조선시대 여성의 머리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3 (3), 251-265

MLA

조미영(Cho Mi-Young). "조선시대 여성의 머리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3.3(2002): 251-2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