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GC에 의한 티트리와 레몬 정유의 분석

이용수  301

영문명
An analysis on essential oil of Tea tree and Lemon by GC
발행기관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저자명
이혜영(Lee Hae-Young) 임미혜(Leem Mi-Hyea) 김창성(Kim Chang-Seong)
간행물 정보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4권 제1호, 287~30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6.0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고 또 다른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는 현대의학의 한계점을 절감하며 발전된 대체요 법, 자연요법 등이 세계적인 추세에 부응하여 국내에서도 1990년대에는 빠른 속도로 활발하게 성장해 왔으며 피부미용계에서도 가장 매력적인 요법의 하나로 아로 마테라피를 들 수 있다.
  아로마테라피에 사용되는 정유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성분함량에 차이가 나며 그 성분들이 아로마 오일의 향과 효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또한 오용이나 남용하므로 독성을 야기 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적인 차원의 순도와 품질을 검증하는 시스템화 된 체제가 없으며 행정 및 관련법규 적용의 기준이 설정되지 않아 전문인도 거의 없어 무방비 상태로 판매.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정유 중에 티트리, 레몬 오일을 선택하여 각각 네 회사제품에 대한 GC/MSD를 이용한 성분분석으로 티트리 오일은 ISO 표준함량과, 레몬 오일은 일반 기준값과 비교하여 보았다.
  그 결과, tea tree oil의 중요 구성성분이며 후추 같은 향의 monoterpenoid alcohol terpinene 4-ol은 네회사 모두 ISO 기준 최소값 보다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표 1, 그림 1).
  monoterpene 중의 소나무향을 나타내는 α-pinene은 모두 ISO 기준보다 높고 그 중에서 B회사 제품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표 4, 그림 2). monoterpene의 특성상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부작용으로 발적현상과 염증이 생길 우려가 있음을 고려할 때 몇 가지 terpene계의 기준값 이상을 나타내는 oil에 대한 검증이 요구된다.
  citrus oil의 정신을 맑게 하고 기억력을 좋게 하는 α-terpinene, γ-terpinene, P-cymene을 살펴보면, 먼저 α-terpinene에서 C와 A회사제품은 정상범위에 있으나 F회사의 경우 전혀 없으며 B회사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4, 그림 3).
  주요 구성성분인 γ-terpinene은 네 회사제품 모두 정상범위에 해당하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4). P-cymene에서는 C와 A회사제품에서 정상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F회사의 것은 기준값에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표 4, 그림 5). tea tree oil의 중요 산화제이며 향의 특징에 필수적 요소를 제공하는 1.8cineole은 네 회사제품 모두에서 ISO 표준함량보다 낮게 나타났다(표 4).
  Lemon oil의 냄새는 과일 향을 가진 알데히드인 neral과 geranial에 의해 특징지어지는데 두 가지 성분 모두 책의 기준값 보다 낮은 것을 볼 수 있으며 F회사에서 neral 성분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 그림 6).
  Monoterpene의 대표적 성분인 limonene의 매우 높은 비율이 주목할 만하며 네 회사제품 모두 기준값 보다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5).
  Limonene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β-pinene, γ-terpinene은 네 회사제품 모두 기준값 이상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표 5).
  약한 장미향과 과일향을 나타내는 ester인 neryl acetate와 geranyl acetate는 아주 소량의 구성성분이기는 하나 기준값 보다 낮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티트리 오일의 주성분은 탄화수소계이며 그 다음이 알코올계, 옥사이드계 순인것과 레몬 오일에서 탄화수소계의 limonene이 주성분을 이루는 것은 기존의 내용들과 일치하나 각 제품회사별 성분함량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ISO 표준함량이나 기준값과도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국가적 차원의 정유를 검증하는 시스템화 된 체제와 함께 규제가 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제시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ought there have been many limits in modern medical science that fundamental cure is impossible and a lot of adverse reactions are happened, advanced alternative and natural therapies, answering to the global trend, has been actively developed from 1990s in Korea. One of most attractive therapies among the area of skin care is aromatherapy.
  The chemical contents of essential oil used for the aromatherapy may depend on many reasons, and they have become meaningful factors to decide the perfume and effect of each aroma oil. Abuse or misuse of the aroma oil, however, might result in poisonous element. Nevertheless, no national system to examine the degree of purity and quality exists. Indeed, administrative and legal criteria are not established and there is no professional, so that, the essential are carelessly sold and used. Present study, therefore, selected the tea tree and lemon oils, managed by four Korean companies generally used ones to compare tea tree oil to ISO standard content and lemon oil to common criteria through content analysis using GC/MS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lue of monoterpenoid alcohol terpinene 4-ol, one of major contents of tea tree oil with perfume like pepper, is remarkably lower than the minimum of ISO standard in all products of four companies(see Table 1 and Feature 1). The value of α-pinene, an aroma of pine in monoterpene was higher than the ISO standard in all products of four companies, and especially, B company"s product was lowest(see Table 4 and Feature 2). Giving that too high degree of monoterpene may cause the adverse effects such as redness or inflammation,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terpene oils that appeared to have more value than criterion. The value of 1.8cineole, an important oxidizer of tea tree oil, which offers a necessary element the aroma"s characteristic, was lower than the minimum of ISO standard in all products of four companies(see Table 4).
  The fragrance of lemon oil is characterized by neral and geranial, aldehydes with fruit smell; both was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in the book, and products of F company did not contain neral(see Table 5 and Feature 6).
  It was noteworthy that the rate of limonene, representative contents of monoterpene, was very high and its value was remarkably lower than the standard in all products of four companies(see Table 5). The values of β-pinene and γ-terpinene which follow in the rate were similar above the standard in all products of four companies(see Table 5). The values of neryl and geranyl acetates, the esters with slight rose and fruit perfumes, were lower than the standard or were not found, though they are trivial contents(See Table 5).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fact that the main contents of tea tree oil are hydrocarbons and alcohols and oxides are followed, and the fact that limonene of hydrocarbons in lemon oil is main content agree with existing studies. However, there exist some differences of amount among the products of each company. In addition, the values are differing from those of ISO criteria and standards. It is suggested, therefore, that national system to examine as well as regulate the essential oil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목차

ABSTRACT
요약
Ⅰ. 서론
Ⅱ. 실험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영(Lee Hae-Young),임미혜(Leem Mi-Hyea),김창성(Kim Chang-Seong). (2003).GC에 의한 티트리와 레몬 정유의 분석.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4 (1), 287-301

MLA

이혜영(Lee Hae-Young),임미혜(Leem Mi-Hyea),김창성(Kim Chang-Seong). "GC에 의한 티트리와 레몬 정유의 분석."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4.1(2003): 287-3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