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s of Beauty and the Beauty Make-up in Plastic Surgery Performances - Focused on plastic surgery performances of Orla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미희(Yi Mi-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4권 제1호, 241~2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6.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works of Orlan, a french woman artist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criticism on any argument over body give us a formulated criticism against somewhat standardized criteria of aesthetics under the pressure over body throughout our history, and a series of new aesthetic concepts as well.
With her works such as ‘a performance of plastic surgery’ and ‘Self-Hybrida- tion’, she tried to newly recognize our body and physical members as a symbol that stands for authentic criticism and culture against conventional aesthetics as defined in former patriarchal society.
So this study will look through Orlan"s critical recognition about ‘cosmetic sur- gery" along with her own arguments to reveal through her works, as well as a variety of conventional discussions over beauty. In addition, it will consider the meaning of ‘beauty make-up’ that becomes highlighted in terms of its creativity and aesthetic reflection.
Cosmetic surgery that considers our skin as an object to decorate or ornament needs a sort of self-reflection about extreme aestheticism.
Other than common cosmetic make-up, cosmetic surgery is an abstract concept in terms of its cultural nature.
The ‘make-up’ is an everlasting invention that sometimes hides and sometimes reveals the advantage or disadvantage of our face depending on the rhythm of our own desire, while ‘cosmetic surgery’ means an isolated world that shows only its critical results.
As a matter of fact, nobody can be free from influences of physical attraction. So called ‘physical attraction’ is usually defined and determined by any social consent and reflects the values of the society.
Our cognition about physical attraction plays an essential role in building up our own self or ego, which has strong influences on different human relationships.
The images of beauty contain raveled riddles like ancient pictograph. That is why the beauty may be reproduced for ever, which goes on the way to present any good answer ceaselessly.
We invest various colors into our own natural and better self than ever for the sake of a little better life, rather than better ideas.
With her works such as ‘a performance of plastic surgery’ and ‘Self-Hybrida- tion’, she tried to newly recognize our body and physical members as a symbol that stands for authentic criticism and culture against conventional aesthetics as defined in former patriarchal society.
So this study will look through Orlan"s critical recognition about ‘cosmetic sur- gery" along with her own arguments to reveal through her works, as well as a variety of conventional discussions over beauty. In addition, it will consider the meaning of ‘beauty make-up’ that becomes highlighted in terms of its creativity and aesthetic reflection.
Cosmetic surgery that considers our skin as an object to decorate or ornament needs a sort of self-reflection about extreme aestheticism.
Other than common cosmetic make-up, cosmetic surgery is an abstract concept in terms of its cultural nature.
The ‘make-up’ is an everlasting invention that sometimes hides and sometimes reveals the advantage or disadvantage of our face depending on the rhythm of our own desire, while ‘cosmetic surgery’ means an isolated world that shows only its critical results.
As a matter of fact, nobody can be free from influences of physical attraction. So called ‘physical attraction’ is usually defined and determined by any social consent and reflects the values of the society.
Our cognition about physical attraction plays an essential role in building up our own self or ego, which has strong influences on different human relationships.
The images of beauty contain raveled riddles like ancient pictograph. That is why the beauty may be reproduced for ever, which goes on the way to present any good answer ceaselessly.
We invest various colors into our own natural and better self than ever for the sake of a little better life, rather than better idea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형퍼포먼스를 통한 美의 의미와 뷰티 메이크-업 - Orlan의 성형수술 퍼포먼스 중심으로
- 대중문화에 나타난 헤어스타일 변화에 관한 연구 - 1980년~2002년 현재를 중심으로
- 광주지역 경력미용사들의 건강장애에 관한 조사 연구
- 퍼스널 이미지 확립을 위한 셀프 마케팅 연구
- 현대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에 나타난 키치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문양을 이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 영화 ‘사브리나’에서 보여지는 의상 및 분장에 관한 연구
- 피부색 보정을 통한 베이스 메이크업의 피부표현 기법 연구
- 현대 패션에 나타난 바디 아트의 형태와 특성에 관한 연구
- 21세기 컬렉션에 나타난 키치적 특성의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과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여성의 계절별 화장색조와 유행색조의 비교 분석
- 매직 스트레이트 펌(Perm)과 일반 스트레이트 펌에 의한 모발손상 연구
- 메이크업을 통한 캣워크 연출에 대한 연구 - 2000년 S/S 이후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 소설 ‘춘향전’을 통해 본 조선 후기의 복식, 머리모양, 화장의 계층별 특징에 관한 연구
-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메이크업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 여성들의 대체 요법 인식도 및 요구도 조사
- 피부관리사의 업무와 업무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미용실 이용 실태에 따른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 헤어 미용서비스를 중심으로
- GC에 의한 티트리와 레몬 정유의 분석
- 학회소식 외
- 미용 재료 사용시 혼입 우려가 있는 비소에 대한 팔진탕의 영향
- 얼굴의 골격과 근육에 따른 노인 분장에 관한 연구
- 하회탈의 조형미에 나타난 분장성에 관한 연구
- 헤어트리트먼트가 모발염색에 있어서 색상에 미치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