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akeup with a Feminist perspective - From 1990 to the persent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승민(Lee Seung-Mi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4권 제1호, 273~28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6.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ed at changes of appearance through makeup; the changes are influenced by the feminists idea that has contributed to generating feministic ideas among women, dealing with womens interests, and it thus analyses the trend of makeup from a feministic viewpoint, which appeared in the fashion of the 1990s, pursuing new culture and harmony. The type of makeup image based on the idea of feminism intertwined with that of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1990s is, first, based on the equations of nature=women and capitalism=man , which generates the idea that the problem of the ecosystem is caused by a man. This leads to eco-feminism which connects ecology with feminism, leading to certain makeup images in which exaggeration or artificiality is precluded, emphasizing mild, lovable images, particularly using a noticeably feminine pastel shade, pink. Second, based on radical feminism of the 1960s and further influenced by ultra-feminism which stresses an extreme femininity through sexy and gaudy appearance, makeup images of the 1990s provoke eroticism, show a provocative and glamorous sexy style, and overtly demonstrate feminine sexual attractiveness. Especially, the use of metallic gloss and pearl tone added the features of gaudiness and sexiness. Third, a rising trend of deconstruction in the postmodernism of the 1990s deforms a man-centered idea, seeking for a non-centered idea. Based on the deconstructive idea, feminists destroy any boundary between men and women; this allows them to visualize makeup as a combination of fine art techniques and formative elements, through an artistic concept, by denying fixed forms and demonstrating a creative world, rather than a partly modified world.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페미니즘의 이론적 고찰
Ⅲ. 현대 패션에 나타난 페미니즘
Ⅳ.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메이크업의 이미지 유형 분류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페미니즘의 이론적 고찰
Ⅲ. 현대 패션에 나타난 페미니즘
Ⅳ.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메이크업의 이미지 유형 분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형퍼포먼스를 통한 美의 의미와 뷰티 메이크-업 - Orlan의 성형수술 퍼포먼스 중심으로
- 대중문화에 나타난 헤어스타일 변화에 관한 연구 - 1980년~2002년 현재를 중심으로
- 광주지역 경력미용사들의 건강장애에 관한 조사 연구
- 퍼스널 이미지 확립을 위한 셀프 마케팅 연구
- 현대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에 나타난 키치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문양을 이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 영화 ‘사브리나’에서 보여지는 의상 및 분장에 관한 연구
- 피부색 보정을 통한 베이스 메이크업의 피부표현 기법 연구
- 현대 패션에 나타난 바디 아트의 형태와 특성에 관한 연구
- 21세기 컬렉션에 나타난 키치적 특성의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의 활용과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여성의 계절별 화장색조와 유행색조의 비교 분석
- 매직 스트레이트 펌(Perm)과 일반 스트레이트 펌에 의한 모발손상 연구
- 메이크업을 통한 캣워크 연출에 대한 연구 - 2000년 S/S 이후 크리스티앙 디오르의 컬렉션을 중심으로
- 소설 ‘춘향전’을 통해 본 조선 후기의 복식, 머리모양, 화장의 계층별 특징에 관한 연구
- 페미니즘 시각에서 바라본 메이크업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 여성들의 대체 요법 인식도 및 요구도 조사
- 피부관리사의 업무와 업무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미용실 이용 실태에 따른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 헤어 미용서비스를 중심으로
- GC에 의한 티트리와 레몬 정유의 분석
- 학회소식 외
- 미용 재료 사용시 혼입 우려가 있는 비소에 대한 팔진탕의 영향
- 얼굴의 골격과 근육에 따른 노인 분장에 관한 연구
- 하회탈의 조형미에 나타난 분장성에 관한 연구
- 헤어트리트먼트가 모발염색에 있어서 색상에 미치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