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이용수  1,339

영문명
A Study of Women"s Language and Their Socio-cultural Place in Korean Society
발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저자명
이화연(Lee Hwa-yeon)
간행물 정보
『사회연구』2004년 제2호, 237~25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0.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 언어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그들의 사회적 또는 문화적 상황이나 배경을 반영한다. 따라서 같은 한 언어 속에 나타나는 언어의 다양성 및 언어적 차이는 그 사회의 사회?문화적 차이를 대변하고 기록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의 사용에 나타나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차이 중에서 특히 성(gender)에 따른 구조적인 언어적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영어에 나타난 여성언어의 5가지 특성들이 한국어의 여성언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인터뷰와 설문지를 통해 비교분석해 보았다. 요약하면, 첫째 한국어의 여성언어는 남성언어에 비해 색채에 대해 섬세하고 자세한 묘사와 비유를 썼으며, 둘째 감탄사 및 감탄사적 표현에서는 특히 긍정적인 상황에서 여성이 감탄사를 많이 사용했고 또 부정적인 상황에서는 남성과는 다르게 욕설이나 비난을 자제하고 자신의 감정을 완곡하게 표현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자주 사용하는 그리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형용사에서도 여성들만이 즐겨 쓰는 독특한 형용사적 표현이 존재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넷째로 상대에 대한 명령이나 요청 또는 의뢰의 표현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여성은 상대편에 대해 명령이나 비난을 피하고 될수록 요청이나 의뢰의 형식을 빌어서 완곡하게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남녀의 이야기스타일에서의 차이는 여성이 사용한 문장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었고 내용에서도 단순한 정보만을 전달하기보다는 자신의 감정을 실어 생생하고도 충실한 내용전달과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는 이야기스타일 형태를 보였다. 또한 남성에 비해 표준어를 주로 쓰며 문법적인 표현에 맞는 언어사용이 두드러졌다.

영문 초록

  Language reflects and records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in a speech community. Among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focuses on gender differences, for in most societies language differentiates between men and women in various marked ways. Thus, the primary aim of this linguistic analysis is to investigate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language use,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speech in Korean and English.
  Based on previous research on women"s speech in English,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five characteristics of women"s language through oral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linguistic study of women"s language are as follows:
  1. Fine color discrimination is more relevant for women than for men.
  2. Women frequently use meaningless particles or weaker expletives, while the stronger expletives are reserved for men.
  3. Women are apt to use some specific adjectives that are largely confined to women.
  4. In expressing personal feelings or opinions, women"s speech comes across as much more polite than men"s. They tend to avoid confirmation and commitment.
  5. Whereas men prefer colloquial speech, women use more grammatical vocabularies and sentences that conform to grammatical standards.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결론
참고문헌
- 초록 -
- Abstract -
부록 :《설문지 샘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화연(Lee Hwa-yeon). (2004).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사회연구, 5 (2), 237-259

MLA

이화연(Lee Hwa-yeon).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사회연구, 5.2(2004): 237-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