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Status of Housing Property Right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mong Newlyweds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저자명
- 서형준(Hyungjun Suh)
- 간행물 정보
- 『지역사회학』제26권 제1호, 5~3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구 수준의 변수인 주택점유형태를 넘어서 개인 수준의 변수인 주택 재산권에 따라 주거 만족도와 주거선호가 달라지는지를 검증했다. 본 연구는 2014-16년 신혼부부 주거실태 패널조사를 자료로, OLS과 이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분석방법으로 활용했다. 분석 결과, 관련된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자가보유가구는 임차가구보다 높은 주거만족도를 갖고 있었다. 한편 주거선호의 측면에서도 자가보유가 구가 임차가구보다 주택점유형태와 주택가격의 변동을 중요하게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재산권자(자가보유가구 중 재산권을 보유한 구성원)가 가족재산권자(자가보유가구 중 재산권을 보유하지 않은 구성원)보다 주택점유형태와 주택가격의 변동을 중요한 고려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개인재산권자와 가족 재산권자는 가구 수준에서 평균적으로 유사한 주택의 질, 주택면적, 주거환경 등을 갖고 있지만 재산권 보유여부 때문에 결과변수에 차이가 났다는 점이 흥미로운 점이다. 본 연구는 재산권의 효과가 성별, 부모님으로부터의 독립주거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preferences vary by housing property rights, an individual-level variable, beyond the household-level variable of homeownership. This study uses the data that came from the newlywed module of the 2014-16 Korea Housing Survey and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as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relevant variables, owner-occupied households had higher residential satisfaction than renter-occupied households, and individual property owners had higher residential satisfaction than respondents without property rights (family property owners). In terms of residential preferences, owner-occupied households were more likely than renter-occupied households to consider housing tenure and house price fluctuations important, and individual property owners were more likely than family property owners to consider housing tenure and house price fluctuations as important. It is intriguing to note that individual property owners and family property owners have similar housing quality, living space, and living environment at the household level, but the outcome variables differ due to the difference in property right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property right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 household lived in a region, gender, and whether they lived independently of their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자료, 변수 및 방법론
Ⅳ. 기술통계 및 이변량 관계분석 결과
Ⅴ.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Ⅵ. 결론 및 연구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보훈 콘텐츠 참여 경험이 국민 보훈 의식에 미치는 영향
- 국가보훈대상자 특성에 따른 보훈정책 욕구 분석 및 시사점 연구
- 국가보훈대상자 생활실태조사자료에 기반한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 특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