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리 위의 모더니티 - 서울의 ‘러시아워’ 현상에 관한 시·공간의 사회학적 연구

이용수  322

영문명
Modernity on the Street: The Sociological Approach to ‘Rush Hour’ in Seoul
발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저자명
정수남(Jung Su Nam)
간행물 정보
『사회연구』2004년 제2호, 205~2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0.0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울이 도시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러시아워’ 현상의 역사적 과정을 시ㆍ공간의 사회학적 시각에서 이해하고, 이를 통해 산업화시기에 서울시민들이 겪었던 근대적 시ㆍ공간 경험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로, 러시아워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조건을 근대적 시ㆍ공간 구조와 그것의 딜레마에서 찾았으며, 시간의 표준화와 이동경로의 구조화가 이동의 시ㆍ공간적 제약임을 밝히고자 했다. 둘째로, 근대적 교통체계의 발달로 인해 시ㆍ공간 압축 현상이 일반화되었지만 도시계획의 부재와 교통체계의 한계로 인하여 오히려 시ㆍ공간의 지체 현상이 초래한다는 점을 밝혔다. 셋째로, 러시아워의 풍경과 경험을 식민지 시기부터 살펴보면서 당시의 러시아워는 ‘승차난’을 의미했다면, 현대로 올수록 ‘교통체증’을 의미하는 쪽으로 변해왔다는 사실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워는 시간의 가속화와 위험의 일상화 낳게 되었고, 이로 인해 사람들은 거리 위에서 혼돈스런 근대를 경험하게 되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emerging process of the ‘rush hour’ that are derived from the urbanization of Seoul, based on the sociological view on time-space, an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ime-spatial experiences that Seoulites have undergone during the 1960s and 1970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rgues that the modern time-spatial structures and its dilemmas are the conditions of rush hour phenomena, and have been the endeavor to identify that the standardization of time and the structuration of transfer path had restricted the time-space. Secon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mpression of time-space is generalized by developing the modern traffic systems, but, the time-space have been congested because of the limits of traffic systems and the absence of city planning. Third, this study argues that rush hour meant, by its very nature, the ‘difficulties of riding transportations’, but had been gradually understood as a ‘traffic jam’ by expanding the consumption and by increasing the demand for car.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rush hour had generated the acceleration of time and the routinization of danger, therefore people had experienced a confusional modern times on the street.

목차

1. 서론
2. 이동의 시ㆍ공간적 제약: 근대적 시ㆍ공간의 딜레마
3. 러시아워의 풍경과 경험의 변화
4. 거리 위의 모더니티: 스피드와 위험의 일상화
5. 결론
참고문헌
- 초록 -
- Abstract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수남(Jung Su Nam). (2004).거리 위의 모더니티 - 서울의 ‘러시아워’ 현상에 관한 시·공간의 사회학적 연구. 사회연구, 5 (2), 205-235

MLA

정수남(Jung Su Nam). "거리 위의 모더니티 - 서울의 ‘러시아워’ 현상에 관한 시·공간의 사회학적 연구." 사회연구, 5.2(2004): 205-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