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주노동당 ‘있는’ 정당체제의 사회적 기반
이용수 130
- 영문명
- Party"s Mobilization Strategy for Social Base After 17th General Election
- 발행기관
- 한국사회조사연구소
- 저자명
- 서복경(Seo Bokyeung)
- 간행물 정보
- 『사회연구』2004년 제2호, 149~1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0.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정당의 공식 성명ㆍ논평 자료를 소재로, 17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지지기반 확장을 위한 각 정당의 전략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당체제 사회적 기반의 변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2004년 4월 16일부터 8월 31일까지 주요 3당에서 발표한 성명ㆍ논평자료 1049건을 소재로, 사회경제적 쟁점, 이념적 쟁점, 정쟁의제를 포함한 기타쟁점으로 영역을 나누어 그 빈도와 주장의 선명성을 조사ㆍ비교하였다.
분석결과 17대 총선에서 처음 원내에 진출한 민주노동당은 사회경제적 쟁점에 대한 언급회수가 가장 많고 그 선명성도 높아 계층적 지지 동원전략을 중심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동/노사관계와 기업/거시경제 정책에서 민주노동당과 한나라당은 분명한 대조를 보여, 사회계층적 지지동원에 관한 한 서로 다른 유권자 집단에 대한 동원전략을 보여주었다. 이념적 쟁점에서는 3당 모두 언급빈도가 다른 쟁점영역에서보다 낮지만, 한나라당은 대북정책을, 민주노동당은 이라크 파병문제를 중심으로 지지기반의 변화 혹은 창출전략을 구사하였다.
하지만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모두 다른 쟁점영역보다 상대당과의 정쟁의제에 가장 많은 비중을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경쟁의 기타쟁점으로는 아직 형성단계에 있는 쟁점으로 행정수도 문제가 두드러졌는데, 열린우리당은 단일쟁점으로는 가장 많은 빈도를 행정수도 문제에 할애하고 있었다.
정당체제를 어떤 시각에서 바라보는가에 따라 변화의 진단도 달라지겠지만, 이 논문은 기존 정당체제의 핵심적 특징으로 지지기반의 불안정성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상징을 중심으로 한 정당경쟁보다 정책을 매개로 한 정당경쟁이 구체적인 유권자 집단의 동원에 보다 유리하며, 장기적으로 정당체제의 안정성에 보다 기여한다는 입장에 서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이 논문은 총선 이후 정당경쟁이 정당전략의 측면에서, 그리고 실제 형성된 쟁점성격의 측면에서 과거보다는 정책의제를 중심으로, 그리고 그 정책에 대한 찬ㆍ반 입장을 분명히 가진 유권자 집단의 동원을 중심으로 형성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진단한다.
분석결과 17대 총선에서 처음 원내에 진출한 민주노동당은 사회경제적 쟁점에 대한 언급회수가 가장 많고 그 선명성도 높아 계층적 지지 동원전략을 중심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동/노사관계와 기업/거시경제 정책에서 민주노동당과 한나라당은 분명한 대조를 보여, 사회계층적 지지동원에 관한 한 서로 다른 유권자 집단에 대한 동원전략을 보여주었다. 이념적 쟁점에서는 3당 모두 언급빈도가 다른 쟁점영역에서보다 낮지만, 한나라당은 대북정책을, 민주노동당은 이라크 파병문제를 중심으로 지지기반의 변화 혹은 창출전략을 구사하였다.
하지만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은 모두 다른 쟁점영역보다 상대당과의 정쟁의제에 가장 많은 비중을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경쟁의 기타쟁점으로는 아직 형성단계에 있는 쟁점으로 행정수도 문제가 두드러졌는데, 열린우리당은 단일쟁점으로는 가장 많은 빈도를 행정수도 문제에 할애하고 있었다.
정당체제를 어떤 시각에서 바라보는가에 따라 변화의 진단도 달라지겠지만, 이 논문은 기존 정당체제의 핵심적 특징으로 지지기반의 불안정성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미지와 상징을 중심으로 한 정당경쟁보다 정책을 매개로 한 정당경쟁이 구체적인 유권자 집단의 동원에 보다 유리하며, 장기적으로 정당체제의 안정성에 보다 기여한다는 입장에 서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이 논문은 총선 이후 정당경쟁이 정당전략의 측면에서, 그리고 실제 형성된 쟁점성격의 측면에서 과거보다는 정책의제를 중심으로, 그리고 그 정책에 대한 찬ㆍ반 입장을 분명히 가진 유권자 집단의 동원을 중심으로 형성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진단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political parties" strategies to mobilize social bases after 17th general election and changes in the party system. This paper analyzes political parties" strategies to mobilize social bases after the 17th general election, and the possibilities of change in the party system.
For these purposes, this paper uses 1,049 public comments of two major and one minor parties as data source. Those Comments were classifed by three issue areas-socioeconomic, ideological, other issues. And this paper assumes that the party comment on each issue showed parties" mobilization strategy for potential voter groups to be interested in each issue.
As a result, this paper conlcudes that there is possibility for parties under the party system after the 17th general election to select a more active strategy of mobilizing social bases than the parties under past party systems, concerning party strategies and issue of party competition.
For these purposes, this paper uses 1,049 public comments of two major and one minor parties as data source. Those Comments were classifed by three issue areas-socioeconomic, ideological, other issues. And this paper assumes that the party comment on each issue showed parties" mobilization strategy for potential voter groups to be interested in each issue.
As a result, this paper conlcudes that there is possibility for parties under the party system after the 17th general election to select a more active strategy of mobilizing social bases than the parties under past party systems, concerning party strategies and issue of party competition.
목차
1. 문제
2. 연구방법
3. 정당의 전략과 사회적 기반
4. 정당체제-유권자 집단의 연계구조와 7정당체제의 미래
참고문헌
- 초록 -
- Abstract -
2. 연구방법
3. 정당의 전략과 사회적 기반
4. 정당체제-유권자 집단의 연계구조와 7정당체제의 미래
참고문헌
- 초록 -
- Abstract -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민운동과 17대 국회의원 선거 - 낙선운동의 효과를 중심으로
-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 지역과 세대
- 민주노동당 ‘있는’ 정당체제의 사회적 기반
- 통권 8호를 내면서
- 한국 민주주의의 진로 - 참여, 갈등 그리고 통합
- 17대 총선과 세대 - 정당 지지 분석을 중심으로
- 성 분업의 근대적 재구성 - 한국 여성의 ‘가족형성기 탈취업’ 경향의 변화를 중심으로
- 16대 대선에서의 무당파층 특성 및 행태연구
- 애니메이션 영화 〈슈렉〉의 기호학적 분석 - 등장인물의 이미지 및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 한국의 여성언어를 통해 본 여성의 사회문화적 위치에 대한 연구
- 거리 위의 모더니티 - 서울의 ‘러시아워’ 현상에 관한 시·공간의 사회학적 연구
- (사)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소개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지방 종합병원 밀레니얼 세대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지역사회학 제26권 제1호 목차
- 희망과 존재 의미의 개인적, 사회적 조건: 아시아 3개국 비교를 중심으로
- 주택 재산권 보유 여부가 주거만족도와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