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developing accreditation standards for evaluation using concept mapping - focusing on the medical education
이용수 83
- 영문명
-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developing accreditation standards for evaluation using concept mapp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Soojung Jang(장수정)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4집 제3호, 173~20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1.01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단 연구 수행을 위한 포털 까페를 만들어, 이 까페에서 본 연구에 대해 홍보하고, 피험자의 주의사항을 공지한 후, 데이터 수집을 실시하였다. 총 53명의 피험자들이 ‘쪽지’를 통해 프로그램 인증 기준에 대한 진술을 적어서 송부하였다. 컨셉 시스템(Concept System)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본 컨셉 영역을 도출하였다. 일단 피험자들이 쓴 다양한 데이터를 82개의 주요 데이터(표2)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 82개의 진술을 피험자들에게 보내 이 내용을 유목화하고 가중치를 두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자는 피험자들이, 82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유목화하고 가중치를 매기기 위해 다음 두 가지 방법 중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피험자로부터 데이터 수입이 완료된 후, 연구자는 프로그램 인증 기준에 대한 내용들은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과 계층적 군집분석(hierarchical cluster analysis)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고, 이로부터 인증기준에 대한 다양한 맵(maps)과 패턴(patterns)들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방법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컨셉맵과 패턴 매칭이 복잡한 이해관계인들(stakeholders)들의 신속한 결정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고,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관계들간의 상호 비교 및 긴밀 정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컨셉맵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이 과정에 참여한 피험자들간의 과제(의학교육 인증 기준 개발)에 대한 책임감과 결속력을 강화하는 효과도 있었다.
컨셉맵과 패턴매칭의 방법을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자원(resources) 영역과 교육과정(curriculum) 영역 등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으며, 피험자들의 브레인스토밍 결과는(이는 설문조사 결과가 아님)은 프로그램의 철학, 교수의 자질, 프로그램의 환경 등 총 8개의 클러스터로 나눌 수 있었다. 이 중 ‘임상 경험과 실습’(Field experience/Practicum)을 피험자들이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단, 본 연구는 한 학회의 회원들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하였으므로, 샘플링에서 있어서 그 제한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글로벌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미국교육평가학회(American Evaluation Association)의 조인트 커미티 스탠더드(Joint Committee Standards)등과 비교하여 그 함의(implications)를 연구해 볼 만하다.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Concept mapping as an exploratory methodology
Ⅲ. Method
Ⅳ. Results
Ⅴ. Conclusions - Methodological implication for education research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사고양식과의 관계 비교
-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열린교육연구』학회지 투고 규정 외
-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developing accreditation standards for evaluation using concept mapping - focusing on the medical education
-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 젠더놀이(gender play):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 중학생들의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e-Learning 기반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초등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