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Thinking Style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Avera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황희숙(Hwang Hee-Sook) 오민주(Ok Min-Joo) 윤소정(Yune So-Ju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14집 제3호, 149~1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1.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영재교육 분야에서는 영재를 위한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영재의 비판적 사고 특성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사고양식과의 관련성을 알아내어 영재 교육에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2개 교육청 소속 중학생 과학 영재반 1학년과 3학년 118명과 동일한 교육청 소속의 중학교에서 선발한 일반학생 중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하여, 비판적 사고 검사(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Level X)와 사고양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년과 영재성에 따라 이원 중다변랑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그 차이를 보았다. 그 결과 비판적 사고의 경우에는 영재성 여부에 따라 비판적 사고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재성에 따른 차이의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귀납추리와 연역추리, 가정추리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고양식의 경우에도 영재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재성에 따른 차이를 나타나게 하는 주된 요인은 입법적 사고양식, 사법적 사고양식, 위계적 사고양식, 전체적 사고양식, 지엽적 사고양식, 내부적 사고양식, 진보적 사고양식, 보수적 사고양식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성과 학년으로 집단을 나누어 사고양식과 비판적 사고간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 집단별 상이한 상관의 양상이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thinking style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average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Subjects were 118 gifted and 121 average students in Busa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and Thinking Styles Questionnaire.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refer legislative, liberal, judical internal, and hierarchic thinking styles in comparison to average stud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ifted and averag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critical thinking.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ub measures of thinking styles and critical thinking.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사고양식과의 관계 비교
-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열린교육연구』학회지 투고 규정 외
-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developing accreditation standards for evaluation using concept mapping - focusing on the medical education
-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 젠더놀이(gender play): 초등학교 학생들의 이분법적 젠더 정체성 경계 넘기
- 중학생들의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e-Learning 기반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초등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